JPDC TopicJPDC News

JPDC News

이달의 공사 주요뉴스
고객에게 행복을, 도민에게 희망을 전하는 제주개발공사.
미래의 가치를 그리는 제주개발공사의 최근 주요 활동을 만나본다.
  • 복지 현안 해법 마련 위해 머리 맞댄다

    제주특별자치도개발공사(사장 백경훈)는 오는 25일 제주시 호텔 시리우스에서 ‘도민과 함께! 복지기관과 손잡고!’ 소통 포럼을 개최한다. 이번 행사는 창립 30주년을 맞아 도민과의 소통을 강화하고, 제주사회복지협의회 및 제주사회복지공동모금회와 협력해 지역 복지 현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포럼을 통해 지역사회와의 협력 방안을 모색하고, 도민 복지 증진과 ESG·사회적 책임경영을 강화하는 계기로 삼을 예정이다. 백경훈 사장은 “도민과 복지기관의 목소리를 직접 듣고 향후 제주 발전을 위한 의견을 나누는 의미 있는 시간이 될 것”이라며, “앞으로도 도민과 지속적으로 소통하는 공기업으로서의 역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 제주삼다수, 강릉 가뭄에 힘 보탠다… 114톤 긴급 지원

    제주특별자치도와 제주특별자치도개발공사는 가뭄으로 재난 사태가 선포된 강릉시에 제주삼다수 114톤(0.5L 기준 22만 7천병)을 긴급 지원한다고 밝혔다. 이번 지원은 생활용수 공급 제한으로 식수난을 겪고 있는 강릉 시민들을 돕기 위한 조치로, 3일부터 4일까지 제주삼다수 공장에서 출고해 강릉시청을 통해 시민들에게 전달된다.

    앞서 지난 8월 23일에도 강원도의 요청에 따라 재해구호협회를 통해 0.5L 1만 1,200병을 1차 지원한 바 있다. 백경훈 사장은 “재난 사태 선포는 매우 이례적인 상황”이라며, “강릉 시민들이 위기를 극복할 수 있도록 공기업으로서 적극적으로 책임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 제주개발공사, 제51회 국가품질혁신경진대회에서
    품질 혁신 우수성 입증

    제주특별자치도개발공사(사장 백경훈)는 ‘제51회 국가품질혁신경진대회’에 참가한 6개 분임조가 모두 대통령상을 수상하는 성과를 거뒀다고 밝혔다. 이번 대회는 전국 산업 현장의 품질 혁신 활동을 공유하는 자리로, 316개 분임조가 참가해 지난달 25일부터 5일간 제주국제컨벤션센터에서 진행됐다.

    제주개발공사는 자유형식(제조), 서비스, 현장개선, 설비보전, TPM, 스마트팩토리 등 6개 분야에 출전해 금상 2팀, 은상 2팀, 동상 2팀을 수상하며 6년 연속 대통령상 금상 수상이라는 성과를 기록했다. 특히 유니온 분임조는 ‘삼다수 유틸리티 공급 공정 개선’을 통해 연간 약 2억 6천만 원의 효과를, 화산송이 분임조는 ‘고객 VOC 개선’을 통해 연간 약 6천 2백만 원의 효과를 달성해 주목받았다.

    백경훈 사장은 “꾸준한 혁신 활동이 전국적으로 인정받은 의미 있는 성과”라며 “지속적인 품질 혁신과 친환경 경영으로 제주와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공기업으로서 책임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수상 분임조는 오는 11월 열리는 국가품질경영대회에서 대통령상을 공식 수여받으며, 같은 달 대만에서 열리는 국제품질분임조대회(ICQCC 2025)에서도 성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 제주개발공사,
    해양환경 보호 공로 대통령 표창 영예

    제주특별자치도개발공사(사장 백경훈)는 제72주년 해양경찰의 날을 맞아 제주해양경찰청에서 열린 기념식에서 해양환경 보호 공로를 인정받아 대통령 단체 표창을 수상했다. 공사는 제주해경, 수협, 어민들과 함께 ‘조업 중 사용한 페트병 되가져오기 캠페인’을 비롯해 투명 폐페트병 수거 프로젝트를 꾸준히 추진해 왔다.

    이 캠페인은 2020년 서귀포수협과의 협약을 시작으로 도내 전 수협으로 확산됐으며, 2020년부터 2024년까지 약 41톤의 페트병을 수거·자원화해 154톤의 탄소 감축 효과를 거뒀다. 이는 소나무 5만 그루 이상을 심은 효과와 맞먹는다. 공사는 OBP(Ocean Bound Plastic) 국제 인증도 획득해 신뢰성을 높였으며, 최근에는 ‘제주삼다수, 깨끗한 제주 바다 만들기 캠페인’을 통해 어촌·어선 단위로 참여를 확대하고 있다.

    백경훈 사장은 “창립 30주년을 맞아 환경보호 사회공헌을 강화하고 있으며, 플라스틱 없는 제주 바다를 위해 다양한 프로젝트를 지속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삼다소담 웹진

2025년

  • 삼다소담 vol. 54

    vol. 54

  • 삼다소담 vol. 55

    vol. 55

  • 삼다소담 vol. 56

    vol. 56

  • 삼다소담 vol. 57

    vol. 57

  • 삼다소담 vol. 58

    vol. 58

  • 삼다소담 vol. 59

    vol. 59

  • 삼다소담 vol. 60

    vol. 60

  • 삼다소담 vol. 61

    vol. 61

  • 삼다소담 vol. 62

    vol. 62

2024년

  • 삼다소담 vol. 53

    vol. 53

  • 삼다소담 vol. 52

    vol. 52

  • 삼다소담 vol. 51

    vol. 51

  • 삼다소담 vol. 50

    vol. 50

  • 삼다소담 vol. 49

    vol. 49

  • 삼다소담 vol. 48

    vol. 48

  • 삼다소담 vol. 47

    vol. 47

  • 삼다소담 vol. 46

    vol. 46

  • 삼다소담 vol. 45

    vol. 45

  • 삼다소담 vol. 44

    vol. 44

  • 삼다소담 vol. 43

    vol. 43

  • 삼다소담 vol. 42

    vol. 42

2023년

  • 삼다소담 vol. 41

    vol. 41

  • 삼다소담 vol. 40

    vol. 40

  • 삼다소담 vol. 39

    vol. 39

  • 삼다소담 vol. 38

    vol. 38

  • 삼다소담 vol. 37

    vol. 37

  • 삼다소담 vol. 36

    vol. 36

2022년

  • 삼다소담 vol. 35

    vol. 35

  • 삼다소담 vol. 34

    vol. 34

  • 삼다소담 vol. 33

    vol. 33

  • 삼다소담 vol. 32

    vol. 32

  • 삼다소담 vol. 31

    vol. 31

  • 삼다소담 vol. 30

    vol. 30

  • 삼다소담 vol. 29

    vol. 29

  • 삼다소담 vol. 28

    vol. 28

  • 삼다소담 vol. 27

    vol. 27

  • 삼다소담 vol. 26

    vol. 26

  • 삼다소담 vol. 25

    vol. 25

  • 삼다소담 vol. 24

    vol. 24

2021년

  • 삼다소담 vol. 23

    vol. 23

  • 삼다소담 vol. 22

    vol. 22

  • 삼다소담 vol. 21

    vol. 21

  • 삼다소담 vol. 20

    vol. 20

  • 삼다소담 vol. 19

    vol. 19

  • 삼다소담 vol. 18

    vol. 18

  • 삼다소담 vol. 17

    vol. 17

  • 삼다소담 vol. 16

    vol. 16

  • 삼다소담 vol. 15

    vol. 15

2020년

  • 삼다소담 vol. 14

    vol. 14

  • 삼다소담 vol. 13

    vol. 13

  • 삼다소담 vol. 12

    vol. 12

  • 삼다소담 vol. 11

    vol. 11

  • 삼다소담 vol. 10

    vol. 10

  • 삼다소담 vol. 9

    vol. 9

  • 삼다소담 vol. 8

    vol. 8

  • 삼다소담 vol. 7

    vol. 7

  • 삼다소담 vol. 6

    vol. 6

  • 삼다소담 vol. 5

    vol. 5

  • 삼다소담 vol. 4

    vol. 4

  • 삼다소담 vol. 3

    vol. 3

  • 삼다소담 vol. 2

    vol. 2

2019년

  • 삼다소담 vol. 1

    vol. 1

2025년

2024년

2022년

2021년

2020년

삼다소담 웹진 구독신청

삼다소담 웹진 구독신청 하시는 독자분들에게
매월 흥미롭고 알찬 정보가 담긴 뉴스레터를 발송하여 드립니다.
*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이메일 주소 외의 정보는 받지 않습니다.
이메일
구독신청을 취소하시려면 아래 [구독 취소하기] 버튼을 클릭하신 후
취소 신청 이메일을 작성해 주세요.
VOL.61 September 2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