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PDC Topic삼다소담이 만난 사람들

삼다소담이 만난 사람들

제주개발공사 사회공헌팀 김동현 과장
‘2030 플라스틱 없는 제주 바다’를 향한 여정의 중심에는, 환경과 사람을 잇는 실천의 힘이 있다.
김동현 과장은 「대한민국 새단장 캠페인 연계 플로깅 주간」을 통해 제주의 바다를 지키기 위한 활동을 기획부터 운영까지 총괄하며,
환경 보호의 의미를 생활 속 실천으로 확산시켰다.
그가 바라본 깨끗한 바다의 미래, 그리고 시민과 함께 만들어가는 지속 가능한 제주.
이번 인터뷰에서는 그가 직접 들려주는 캠페인의 비하인드 스토리와 환경 사회공헌에 담긴 철학을 만나본다.
글 / 사진편집실
제주개발공사에서 담당하고 계신 업무와 이번 플로깅 프로그램에서 맡은 역할을 소개해 주세요.
사회공헌팀에서 환경보호 사회공헌사업을 담당하고 있는 김동현 과장입니다.
2030 플라스틱 없는 제주 바다 조성을 위한 활동 중 일환으로 진행된
「대한민국 새단장 캠페인 연계 플로깅 주간」에서는 기획부터 운영까지 전체 프로그램을 담당하였습니다.
제주개발공사가 플로깅 활동을 추진하게 된 배경과 목적은 무엇인가요?
플로깅은 단순한 쓰레기 수거를 넘어, 환경보호에 대한 인식을 생활 속 실천으로 전환시키는 좋은 방법입니다.
공사는 ‘플라스틱 없는 제주 바다 조성’이라는 중장기 목표 아래, 도민과 관광객이 함께 참여하는 청정바다 지키기
캠페인을 지속하고 있습니다. 특히 대한민국 새단장 캠페인과 연계해 전국적인 환경정화 흐름 속에서
제주가 모범 사례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추진했습니다.
공사 40개 팀이 도내 전역에서 협력업체와 함께 활동을 전개했다고 들었습니다.
어떤 방식으로 운영이 이루어졌는지 구체적으로 소개해 주세요.
‘1팀–1해안 구역’을 매칭하는 방식으로 진행했습니다. 총 40개 팀이 제주도 전역 40개 해안을 담당해,
소속 부서별로 협력기관과 함께 플로깅을 실시했죠.
플로깅 앱을 통해 참여 기록을 인증하고 활동 사진을 공유하며 부서 간선의의 경쟁과 협력 분위기를 조성했습니다.
이번 활동에서 특히 해안정화에 중점을 둔 이유는 무엇인가요?
제주 바다의 가장 큰 위협 요인 중 하나가 해양쓰레기입니다.
관광지뿐만 아니라 접근이 어려운 해안에도 플라스틱, 어구 잔재물이 많이 쌓여 있었어요.
플로깅 주간을 통해 도민과 공공기관이 함께 해안가 정화활동을 집중적으로 펼쳐,
눈에 보이지 않는 곳까지 깨끗하게 만드는 데 주력했습니다.
현장에서 확인한 제주 해양 쓰레기의 주요 문제나 특징은 어떤 모습이었나요?
이번 활동을 통해 느낀 점은, 해안 곳곳에 여전히 생활쓰레기와 관광객이 남기고 간
잔재물이 많다는 것이었습니다. 특히 바람과 조류의 영향으로 먼 바다에서 밀려온 부유 쓰레기도 적지 않았습니다.
현장에서 직접 확인하며 단순한 환경 캠페인이 아니라,
지역사회 모두의 꾸준한 관심과 실천이 필요하다는 점을 실감했습니다.
플로깅 주간 운영을 위해 협력업체 및 외부 파트너와의 협업 구조는 어떻게 구성되었나요?
공사와 업무적으로 연계된 협력기관이 함께 참여했습니다. 40개 구역에 모두 협력업체를 매칭하지는 못하였지만,
최대한 1대1 매칭을 위해 노력하였고, 힘을 모아 정화활동을 진행했습니다.
이를 통해 단순한 환경 캠페인을 넘어, 공사와 협력사 간의 파트너십을 강화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이번 플로깅 활동을 통해 도출된 주요 성과를 공유해 주세요.
총 40개 구역에서 약 335명이 참여했고, 수거된 쓰레기는 약 2.5톤에 달하며,
부서 간 자발적 참여율도 매우 높았습니다. 무엇보다 ESG 실천문화가 조직 전반으로 확산되었다는 점이
가장 큰 성과입니다.
활동을 운영하며 느꼈던 현장의 어려움이나 예기치 못했던 과제가 있었다면 무엇이었나요?
기상 상황에 따라 일정이 유동적이었던 점이 가장 큰 이슈였어요.
하지만 각 부서와 협력기관의 적극적인 협조로 안전하게 진행할 수 있었습니다.
오히려 이런 상황 속에서 자연스럽게 팀워크가 강화됐어요.
임직원들의 참여 분위기와 반응은 어땠나요? 조직 문화 측면에서 얻은 효과가 있었다면 설명해 주세요.
예상보다 훨씬 적극적이었습니다. 현장에서 서로를 격려하고, 쓰레기 수거를 하며 웃음이 끊이지 않았죠.
플로깅을 계기로 부서 간 교류가 활발해지고,
‘함께 행동하는 플라스틱 없는 제주 바다 조성’이라는 조직 문화가 자연스럽게 자리 잡고 있습니다.
해안정화 활동을 진행하며 기억에 남는 상황이나 인상 깊은 사례가 있다면 소개해 주세요.
한 협력기관 직원이 “매일 지나던 해안인데, 직접 쓰레기를 주워보니 다시는 그냥 지나칠 수 없을 것 같다”고
말했을 때가 인상 깊었습니다. 그 한마디가 이 캠페인의 의미를 가장 잘 보여주는 것 같아요.
향후 해양 환경 보호를 위해 프로그램을 지속하거나 확장할 계획이 있다면 소개해 주세요.
현재 우리 공사와 제주특별자치도, 도 자원봉사센터와 협력하여 ‘제주플로깅 앱’을 구축해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 플랫폼을 기반으로 플로깅 주간을 단기 캠페인으로 끝내지 않고, 지속 가능한 정화활동으로 발전시킬 계획입니다.
마지막으로, 제주 바다를 지키기 위한 메시지 또는 전하고 싶은 이야기가 있다면 남겨 주세요.
“한 번의 플로깅이 세상을 바꾸진 않지만, 꾸준히 이어지는 마음이 제주를 지킵니다.”
제주 바다는 우리의 삶과 직결된 소중한 자산입니다. 공사와 도민,
관광객 모두가 ‘함께 지키는 바다’를 만들어 가길 바랍니다.

삼다소담 웹진

2025년

  • 삼다소담 vol. 54

    vol. 54

  • 삼다소담 vol. 55

    vol. 55

  • 삼다소담 vol. 56

    vol. 56

  • 삼다소담 vol. 57

    vol. 57

  • 삼다소담 vol. 58

    vol. 58

  • 삼다소담 vol. 59

    vol. 59

  • 삼다소담 vol. 60

    vol. 60

  • 삼다소담 vol. 61

    vol. 61

  • 삼다소담 vol. 62

    vol. 62

2024년

  • 삼다소담 vol. 53

    vol. 53

  • 삼다소담 vol. 52

    vol. 52

  • 삼다소담 vol. 51

    vol. 51

  • 삼다소담 vol. 50

    vol. 50

  • 삼다소담 vol. 49

    vol. 49

  • 삼다소담 vol. 48

    vol. 48

  • 삼다소담 vol. 47

    vol. 47

  • 삼다소담 vol. 46

    vol. 46

  • 삼다소담 vol. 45

    vol. 45

  • 삼다소담 vol. 44

    vol. 44

  • 삼다소담 vol. 43

    vol. 43

  • 삼다소담 vol. 42

    vol. 42

2023년

  • 삼다소담 vol. 41

    vol. 41

  • 삼다소담 vol. 40

    vol. 40

  • 삼다소담 vol. 39

    vol. 39

  • 삼다소담 vol. 38

    vol. 38

  • 삼다소담 vol. 37

    vol. 37

  • 삼다소담 vol. 36

    vol. 36

2022년

  • 삼다소담 vol. 35

    vol. 35

  • 삼다소담 vol. 34

    vol. 34

  • 삼다소담 vol. 33

    vol. 33

  • 삼다소담 vol. 32

    vol. 32

  • 삼다소담 vol. 31

    vol. 31

  • 삼다소담 vol. 30

    vol. 30

  • 삼다소담 vol. 29

    vol. 29

  • 삼다소담 vol. 28

    vol. 28

  • 삼다소담 vol. 27

    vol. 27

  • 삼다소담 vol. 26

    vol. 26

  • 삼다소담 vol. 25

    vol. 25

  • 삼다소담 vol. 24

    vol. 24

2021년

  • 삼다소담 vol. 23

    vol. 23

  • 삼다소담 vol. 22

    vol. 22

  • 삼다소담 vol. 21

    vol. 21

  • 삼다소담 vol. 20

    vol. 20

  • 삼다소담 vol. 19

    vol. 19

  • 삼다소담 vol. 18

    vol. 18

  • 삼다소담 vol. 17

    vol. 17

  • 삼다소담 vol. 16

    vol. 16

  • 삼다소담 vol. 15

    vol. 15

2020년

  • 삼다소담 vol. 14

    vol. 14

  • 삼다소담 vol. 13

    vol. 13

  • 삼다소담 vol. 12

    vol. 12

  • 삼다소담 vol. 11

    vol. 11

  • 삼다소담 vol. 10

    vol. 10

  • 삼다소담 vol. 9

    vol. 9

  • 삼다소담 vol. 8

    vol. 8

  • 삼다소담 vol. 7

    vol. 7

  • 삼다소담 vol. 6

    vol. 6

  • 삼다소담 vol. 5

    vol. 5

  • 삼다소담 vol. 4

    vol. 4

  • 삼다소담 vol. 3

    vol. 3

  • 삼다소담 vol. 2

    vol. 2

2019년

  • 삼다소담 vol. 1

    vol. 1

2025년

2024년

2022년

2021년

2020년

삼다소담 웹진 구독신청

삼다소담 웹진 구독신청 하시는 독자분들에게
매월 흥미롭고 알찬 정보가 담긴 뉴스레터를 발송하여 드립니다.
*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이메일 주소 외의 정보는 받지 않습니다.
이메일
구독신청을 취소하시려면 아래 [구독 취소하기] 버튼을 클릭하신 후
취소 신청 이메일을 작성해 주세요.
VOL.62 October 2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