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방 in 제주슬기로운 제주생활

슬기로운 제주생활

바다와 바람을 품은 길, 제주환상자전거길
제주를 느끼는 가장 느리고 친환경적인 방법, 자전거.
234km 해안선을 따라 달리다 보면
바람이 선물하는 시원함과 바다의 숨결이 함께한다.
짧은 거리는 차량 대신, 페달 한 번으로 제주의 풍경 속으로 들어가 보자.
편집실 사진제주관광공사

단거리는 차량 대신 친환경 이동수단으로
제주환상자전거길

제주 여행에서 짧은 거리를 이동할 때, 차량 대신 자전거를 선택해보자. 그 순간, 바다와 바람, 풍경이 훨씬 가깝게 다가온다.
제주환상자전거길은 섬을 한 바퀴 도는 234km의 순환형 자전거길로,
유네스코 자연과학분야 3관왕(생물권보호구역, 세계자연유산, 세계지질공원)에 빛나는 제주를 친환경적으로 즐길 수 있는 최고의 방법이다.

차량 대신 페달을 밟으며 달리면 탄소 배출을 줄이고, 바닷바람과 파도 소리를 온몸으로 느낄 수 있다.
특히 해안도로를 따라 달리는 순간은 자동차 여행에선 느낄 수 없는 제주의 표정을 선물한다.

바다와 맞닿은 친환경 루트

제주환상자전거길은 교통량이 적은 해안도로와 일주도로를 활용해 설계됐다.
김녕성세기해변, 함덕서우봉해변, 표선해변 등 제주 동·서·남·북의 해변과, 쇠소깍, 성산일출봉, 송악산 같은 대표 명소를 차례로 경유한다.
남원에서 김녕해변까지 이어지는 약 60km 구간은 바다와 가장 가까이 달릴 수 있어,
친환경 이동수단이 주는 해방감과 제주의 시원한 해풍을 동시에 만끽할 수 있다.

234km, 제주의 해안을 따라

친환경 여행의 또 다른 즐거움

  • 숨은 명소 발견 :엉일해안, 한담해안도로, 신창풍차해안도로, 월령선인장단지, 법환바당 등 자동차로는 놓치기 쉬운 풍경과 마을을 만날 수 있다.
  • 탄소 절감 효과 :차량 이동 대신 자전거를 선택하면 단거리 이동에서 발생하는 탄소 배출을 줄일 수 있다.
  • 몸과 마음의 건강 :천천히 달리며 경치를 감상하는 시간은 운동이자 명상이다.
주행 시 유의사항
  • 1. 추천 방향 : 시계 반대방향(제주공항 → 이호테우해변)으로 주행하면 해안을 마주하고 달릴 수 있으며, 횡단 횟수가 줄어 안전하다.
  • 2. 시내 구간 주의 : 사라봉용두암하귀2리, 법환~정방폭포 구간은 차량 통행이 많으니 주의하자.
  • 3. 우회 구간 : 귀덕~대정(모슬포항) 구간은 인증센터가 없어 일주도로 우회가 가능하다.
  • 4. 인증수첩 : 개정판 스티커는 제주도관광협회 공항·항만 안내소, 용두암 관광안내소에서 발급 가능하다.

삼다소담 웹진

2025년

  • 삼다소담 vol. 54

    vol. 54

  • 삼다소담 vol. 55

    vol. 55

  • 삼다소담 vol. 56

    vol. 56

  • 삼다소담 vol. 57

    vol. 57

  • 삼다소담 vol. 58

    vol. 58

  • 삼다소담 vol. 59

    vol. 59

  • 삼다소담 vol. 60

    vol. 60

  • 삼다소담 vol. 61

    vol. 61

  • 삼다소담 vol. 62

    vol. 62

2024년

  • 삼다소담 vol. 53

    vol. 53

  • 삼다소담 vol. 52

    vol. 52

  • 삼다소담 vol. 51

    vol. 51

  • 삼다소담 vol. 50

    vol. 50

  • 삼다소담 vol. 49

    vol. 49

  • 삼다소담 vol. 48

    vol. 48

  • 삼다소담 vol. 47

    vol. 47

  • 삼다소담 vol. 46

    vol. 46

  • 삼다소담 vol. 45

    vol. 45

  • 삼다소담 vol. 44

    vol. 44

  • 삼다소담 vol. 43

    vol. 43

  • 삼다소담 vol. 42

    vol. 42

2023년

  • 삼다소담 vol. 41

    vol. 41

  • 삼다소담 vol. 40

    vol. 40

  • 삼다소담 vol. 39

    vol. 39

  • 삼다소담 vol. 38

    vol. 38

  • 삼다소담 vol. 37

    vol. 37

  • 삼다소담 vol. 36

    vol. 36

2022년

  • 삼다소담 vol. 35

    vol. 35

  • 삼다소담 vol. 34

    vol. 34

  • 삼다소담 vol. 33

    vol. 33

  • 삼다소담 vol. 32

    vol. 32

  • 삼다소담 vol. 31

    vol. 31

  • 삼다소담 vol. 30

    vol. 30

  • 삼다소담 vol. 29

    vol. 29

  • 삼다소담 vol. 28

    vol. 28

  • 삼다소담 vol. 27

    vol. 27

  • 삼다소담 vol. 26

    vol. 26

  • 삼다소담 vol. 25

    vol. 25

  • 삼다소담 vol. 24

    vol. 24

2021년

  • 삼다소담 vol. 23

    vol. 23

  • 삼다소담 vol. 22

    vol. 22

  • 삼다소담 vol. 21

    vol. 21

  • 삼다소담 vol. 20

    vol. 20

  • 삼다소담 vol. 19

    vol. 19

  • 삼다소담 vol. 18

    vol. 18

  • 삼다소담 vol. 17

    vol. 17

  • 삼다소담 vol. 16

    vol. 16

  • 삼다소담 vol. 15

    vol. 15

2020년

  • 삼다소담 vol. 14

    vol. 14

  • 삼다소담 vol. 13

    vol. 13

  • 삼다소담 vol. 12

    vol. 12

  • 삼다소담 vol. 11

    vol. 11

  • 삼다소담 vol. 10

    vol. 10

  • 삼다소담 vol. 9

    vol. 9

  • 삼다소담 vol. 8

    vol. 8

  • 삼다소담 vol. 7

    vol. 7

  • 삼다소담 vol. 6

    vol. 6

  • 삼다소담 vol. 5

    vol. 5

  • 삼다소담 vol. 4

    vol. 4

  • 삼다소담 vol. 3

    vol. 3

  • 삼다소담 vol. 2

    vol. 2

2019년

  • 삼다소담 vol. 1

    vol. 1

2025년

2024년

2022년

2021년

2020년

삼다소담 웹진 구독신청

삼다소담 웹진 구독신청 하시는 독자분들에게
매월 흥미롭고 알찬 정보가 담긴 뉴스레터를 발송하여 드립니다.
*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이메일 주소 외의 정보는 받지 않습니다.
이메일
구독신청을 취소하시려면 아래 [구독 취소하기] 버튼을 클릭하신 후
취소 신청 이메일을 작성해 주세요.
VOL.60 August 2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