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방 in 제주로케이션 in 제주

로케이션 in 제주

제주 바다와 함께 걷는 길 해안 산책로
늦여름의 햇살이 한층 부드러워지고,
바닷바람 속엔 초가을의 기운이 묻어나는 시기.
제주의 해안 산책로는 지금이야말로 걷기 좋은 계절을 맞이한다.
잔잔한 파도와 은빛 물결, 그리고 서서히 길어지는 석양이 하루의 끝을 물들인다.
오늘은 여름과 가을이 맞닿은 순간,
꼭 걸어봐야 할 네 곳의 해안 산책로를 소개한다.
편집실 사진제주관광공사

한담해안산책로

곽지리와 한담리를 잇는 해안 길

‘곽금올레길’로도 불리는 한담해안산책로는 제주시 애월항에서 곽지과물해변까지 약 1.2km
해안을 따라 조성된 산책로다. 용암이 굳어 형성된 기암괴석과 검은 현무암 해안을 따라 걷는 길이 이어지며, 바로 옆에서 파도가 철썩이는 소리를 들을 수 있다. 산책로 주변에는 카페와 소규모 상점이 있어 휴식을 겸해 들르기 좋으며, 제주 서쪽에 위치해 아름다운 일몰을 감상할 수 있는 명소로도 알려져 있다.
위치: 제주 제주시 애월읍 한담리

남원큰엉해안경승지

기암 절벽과 해안 절경이
어우러진 명소

서귀포시 남원읍 남원리에 위치한 남원큰엉해안경승지는 높이 약 30m, 길이 200m에 이르는
기암 절벽과 탁 트인 바다를 동시에 감상할 수 있는 해안 경승지다. ‘큰엉’은 제주 방언으로 ‘큰 바위그늘’을 뜻하며, 이름처럼 바다가 절벽을 집어삼킬 듯이 드리운 거대한 바위와 바위 아래 형성된 그늘이 특징이다.
해안선을 따라 산책로가 조성돼 있어 숲길과 절벽 전망을 번갈아 즐길 수 있으며, 길 중간에는 한반도 모양의 지형을 배경으로 사진을 찍을 수 있는 포토 스팟이 있다. 절벽 위 평지는 부드러운 잔디로 덮여 있어 휴식하기 좋고, 주변은 갯바위 낚시터와 데이트 코스로도 인기가 높다.
위치: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남원읍 남원리

신창풍차해안도로

풍차와 바다, 일몰이 어우러진 길

제주시 한경면 신창리에 위치한 신창풍차해안도로는 해상풍력단지가 조성된 해안길로,
해안선을 따라 줄지어 선 하얀 풍력발전기와 에메랄드빛 바다가 어우러진 풍경을 감상할 수 있다.
구불구불한 해안도로에서는 저 멀리 차귀도가 보이며, 일몰 명소로도 유명해 사진 촬영과 노을 감상에 적합하다.
도로 인근에는 ‘생태체험장’이 조성돼 자바리상, 원담체험장, 휴게 공간 등이 마련되어 있으며,
중간 전망대에서는 한적하게 바다 전경을 즐길 수 있다.
위치: 제주 제주시 한경면 신창리

형제해안로

형제섬과 마라도 전망이
펼쳐진 아름다운 길

형제해안로는 제주시 한림읍 금능리에서 협재리로 이어지는 해안도로 겸 산책로이자, 서귀포시 대정읍 상모리 송악산에서 안덕면 사계리를 연결하는 해안 경관 도로를 아우른다. 바다 위 나란히 떠 있는 형제섬을 비롯해 국토 최남단 마라도까지 조망할 수 있으며, 푸른 바다와 어우러진 풍경이 ‘한국의 아름다운 길 100선’에 선정될 만큼 뛰어나다. 도로를 따라 걸으면 해안가 카페, 돌담, 자갈해변 등 다양한 경관이 이어지고, 석양 무렵 형제섬 뒤로 지는 해가 장관을 이룬다.
주변에는 사계해변, 발자국 화석 산지, 마라도 잠수함 선착장, 사계리해안 체육공원, 환태평양 평화 소공원 등 볼거리가 풍부해 드라이브와 산책 모두 즐기기에 좋은 코스다.
위치: 제주 제주시 한림읍 금능리~협재리

삼다소담 웹진

2025년

  • 삼다소담 vol. 54

    vol. 54

  • 삼다소담 vol. 55

    vol. 55

  • 삼다소담 vol. 56

    vol. 56

  • 삼다소담 vol. 57

    vol. 57

  • 삼다소담 vol. 58

    vol. 58

  • 삼다소담 vol. 59

    vol. 59

  • 삼다소담 vol. 60

    vol. 60

2024년

  • 삼다소담 vol. 53

    vol. 53

  • 삼다소담 vol. 52

    vol. 52

  • 삼다소담 vol. 51

    vol. 51

  • 삼다소담 vol. 50

    vol. 50

  • 삼다소담 vol. 49

    vol. 49

  • 삼다소담 vol. 48

    vol. 48

  • 삼다소담 vol. 47

    vol. 47

  • 삼다소담 vol. 46

    vol. 46

  • 삼다소담 vol. 45

    vol. 45

  • 삼다소담 vol. 44

    vol. 44

  • 삼다소담 vol. 43

    vol. 43

  • 삼다소담 vol. 42

    vol. 42

2023년

  • 삼다소담 vol. 41

    vol. 41

  • 삼다소담 vol. 40

    vol. 40

  • 삼다소담 vol. 39

    vol. 39

  • 삼다소담 vol. 38

    vol. 38

  • 삼다소담 vol. 37

    vol. 37

  • 삼다소담 vol. 36

    vol. 36

2022년

  • 삼다소담 vol. 35

    vol. 35

  • 삼다소담 vol. 34

    vol. 34

  • 삼다소담 vol. 33

    vol. 33

  • 삼다소담 vol. 32

    vol. 32

  • 삼다소담 vol. 31

    vol. 31

  • 삼다소담 vol. 30

    vol. 30

  • 삼다소담 vol. 29

    vol. 29

  • 삼다소담 vol. 28

    vol. 28

  • 삼다소담 vol. 27

    vol. 27

  • 삼다소담 vol. 26

    vol. 26

  • 삼다소담 vol. 25

    vol. 25

  • 삼다소담 vol. 24

    vol. 24

2021년

  • 삼다소담 vol. 23

    vol. 23

  • 삼다소담 vol. 22

    vol. 22

  • 삼다소담 vol. 21

    vol. 21

  • 삼다소담 vol. 20

    vol. 20

  • 삼다소담 vol. 19

    vol. 19

  • 삼다소담 vol. 18

    vol. 18

  • 삼다소담 vol. 17

    vol. 17

  • 삼다소담 vol. 16

    vol. 16

  • 삼다소담 vol. 15

    vol. 15

2020년

  • 삼다소담 vol. 14

    vol. 14

  • 삼다소담 vol. 13

    vol. 13

  • 삼다소담 vol. 12

    vol. 12

  • 삼다소담 vol. 11

    vol. 11

  • 삼다소담 vol. 10

    vol. 10

  • 삼다소담 vol. 9

    vol. 9

  • 삼다소담 vol. 8

    vol. 8

  • 삼다소담 vol. 7

    vol. 7

  • 삼다소담 vol. 6

    vol. 6

  • 삼다소담 vol. 5

    vol. 5

  • 삼다소담 vol. 4

    vol. 4

  • 삼다소담 vol. 3

    vol. 3

  • 삼다소담 vol. 2

    vol. 2

2019년

  • 삼다소담 vol. 1

    vol. 1

2025년

2024년

2022년

2021년

2020년

삼다소담 웹진 구독신청

삼다소담 웹진 구독신청 하시는 독자분들에게
매월 흥미롭고 알찬 정보가 담긴 뉴스레터를 발송하여 드립니다.
*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이메일 주소 외의 정보는 받지 않습니다.
이메일
웹진 구독 후 [구독 이벤트 참여 폼 작성하기] 버튼을 눌러
정보 입력 완료해야 이벤트 참여가 마무리 됩니다!
구독신청을 취소하시려면 아래 [구독 취소하기] 버튼을 클릭하신 후
취소 신청 이메일을 작성해 주세요.
VOL.60 August 2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