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방 in 제주로케이션 in 제주

로케이션 in 제주

넷플릭스 <폭싹 속았수다> 제주 풍경 위에 새겨진
웃음과 감동
드라마 팬들이 오래도록 기다렸던 아이유, 박보검 주연 드라마 '폭싹 속았수다'가
지난 3월 7일 공개되어 전세계적으로 뜨거운 관심을 받았다.
드라마의 감동을 더한 아름다운 제주의 촬영지를 함께 둘러보자.
편집실 사진제주관광공사 외

성산일출봉

이른 아침 붉게 물든 하늘과 함께 그야말로 드라마틱하게 등장한 성산일출봉.
작품 속 애순과 관식이 보낸 제주에서의 어린 시절에는 성산일출봉이 종종 배경으로 나온다. 작품 속 허구로 표현된 6시 내고향 프로그램 “사랑이 꽃피는 유채꽃 축제”에서도 성산의 유채꽃밭이 펼쳐졌다. 제주의 가장 동쪽에 위치한 만큼 대한민국에서 가장 아름다운 해돋이 장소로 꼽히며 영주십경 중 하나이다. 제주 화산섬과 용암 동굴의 일부로 세계자연유산에 등재되기도 했다. 사계절 아름다운 풍광으로 잘 알려져 있으며, 인근의 광치기해변과 함께 꼭 둘러봐야 할 여행지로 꼽힌다.
위치 : 서귀포시 성산읍 성산리 1

김녕 해변

김녕 해변은 작품 속 해녀들이 물질 후 불턱에서 불을 쬐며 대화를 나누는 배경으로 자주 등장했다. 애순, 관식의 어린 시절 모습이 많이 담긴 곳으로, 특히 두 주인공이 바다 위 현무암 바윗길 위에서 서로 마음을 터놓는 감성적인 장면이 그림 같이 연출되기도 했다. 너럭바위 위로 쪽빛 바다가 펼쳐지는 김녕 해변은 하얀 풍력발전기를 배경으로 더욱 장관을 이룬다. 인근의 갯바위 낚시터 역시 인기 명소이며, 김녕 해수욕장, 용천동굴, 당처물동굴, 만장굴 등이 있어 여름에 시원하게 피서를 즐길 수도 있다. 김녕 해변에는 지질트레일도 조성되어 있는데, 도보길을 이용해 지역의 지질자원과 마을의 역사·문화를 둘러볼 수 있다.
위치 : 제주시 구좌읍 해맞이해안로 140 ‘카페 델문도 김녕점’ 앞 해변

구좌 오름과 해안

드라마에 등장한 실제 제주 배경은 구좌읍에서 많이 촬영되었다. 구좌읍은 제주의 전통적인 풍경을 아직까지 잘 간직한 곳으로 드라마에서 주인공들이 잊지 못할 추억을 만들며 감정이 무르익고 운명이 바뀌는 중요한 장소로 곳곳에 그려진다. 애순과 관식의 가족들이 함께 걸어가는 곳은 제주 구좌의 오름이며, 드라마의 감성을 한층 돋보이게 하는 배경이 된다.

제주목관아

과거 제주의 행정 중심지였던 제주목관아에서도 촬영이 진행됐다. 드라마 중반 이후에 애순이 시인을 꿈꾸며 한라춘사제 백일장에 나가는 장면이 나오는데 바로 그 배경이 제주목관아이다. 제주목관아는 일제강점기에 대부분 훼손되었다가 1991년부터 복원되어 드라마 속 1960년대와 다소 차이가 있지만 과거부터 제주의 역사적인 명소이기에 그 의미가 남다르다. 목관아 내에는 제주의 300년 역사를 확인할 수 있는 역사관 외에 군뢰청, 호적방, 우련당, 홍화각, 연희각, 영주협당 등 다양한 옛 건물이 그대로 재연되어 있다. 연중무휴로 입장 가능하며, 관광안내소로 전화 예약 시 해설 안내도 받을 수 있다.
위치 : 제주시 관덕로 25

삼다소담 웹진

2025년

  • 삼다소담 vol. 54

    vol. 54

  • 삼다소담 vol. 55

    vol. 55

  • 삼다소담 vol. 56

    vol. 56

2024년

  • 삼다소담 vol. 53

    vol. 53

  • 삼다소담 vol. 52

    vol. 52

  • 삼다소담 vol. 51

    vol. 51

  • 삼다소담 vol. 50

    vol. 50

  • 삼다소담 vol. 49

    vol. 49

  • 삼다소담 vol. 48

    vol. 48

  • 삼다소담 vol. 47

    vol. 47

  • 삼다소담 vol. 46

    vol. 46

  • 삼다소담 vol. 45

    vol. 45

  • 삼다소담 vol. 44

    vol. 44

  • 삼다소담 vol. 43

    vol. 43

  • 삼다소담 vol. 42

    vol. 42

2023년

  • 삼다소담 vol. 41

    vol. 41

  • 삼다소담 vol. 40

    vol. 40

  • 삼다소담 vol. 39

    vol. 39

  • 삼다소담 vol. 38

    vol. 38

  • 삼다소담 vol. 37

    vol. 37

  • 삼다소담 vol. 36

    vol. 36

2022년

  • 삼다소담 vol. 35

    vol. 35

  • 삼다소담 vol. 34

    vol. 34

  • 삼다소담 vol. 33

    vol. 33

  • 삼다소담 vol. 32

    vol. 32

  • 삼다소담 vol. 31

    vol. 31

  • 삼다소담 vol. 30

    vol. 30

  • 삼다소담 vol. 29

    vol. 29

  • 삼다소담 vol. 28

    vol. 28

  • 삼다소담 vol. 27

    vol. 27

  • 삼다소담 vol. 26

    vol. 26

  • 삼다소담 vol. 25

    vol. 25

  • 삼다소담 vol. 24

    vol. 24

2021년

  • 삼다소담 vol. 23

    vol. 23

  • 삼다소담 vol. 22

    vol. 22

  • 삼다소담 vol. 21

    vol. 21

  • 삼다소담 vol. 20

    vol. 20

  • 삼다소담 vol. 19

    vol. 19

  • 삼다소담 vol. 18

    vol. 18

  • 삼다소담 vol. 17

    vol. 17

  • 삼다소담 vol. 16

    vol. 16

  • 삼다소담 vol. 15

    vol. 15

2020년

  • 삼다소담 vol. 14

    vol. 14

  • 삼다소담 vol. 13

    vol. 13

  • 삼다소담 vol. 12

    vol. 12

  • 삼다소담 vol. 11

    vol. 11

  • 삼다소담 vol. 10

    vol. 10

  • 삼다소담 vol. 9

    vol. 9

  • 삼다소담 vol. 8

    vol. 8

  • 삼다소담 vol. 7

    vol. 7

  • 삼다소담 vol. 6

    vol. 6

  • 삼다소담 vol. 5

    vol. 5

  • 삼다소담 vol. 4

    vol. 4

  • 삼다소담 vol. 3

    vol. 3

  • 삼다소담 vol. 2

    vol. 2

2019년

  • 삼다소담 vol. 1

    vol. 1

2025년

2024년

2022년

2021년

2020년

삼다소담 웹진 구독신청

삼다소담 웹진 구독신청 하시는 독자분들에게
매월 흥미롭고 알찬 정보가 담긴 뉴스레터를 발송하여 드립니다.
*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이메일 주소 외의 정보는 받지 않습니다.
이메일
웹진 구독 후 [구독 이벤트 참여 폼 작성하기] 버튼을 눌러
정보 입력 완료해야 이벤트 참여가 마무리 됩니다!
구독신청을 취소하시려면 아래 [구독 취소하기] 버튼을 클릭하신 후
취소 신청 이메일을 작성해 주세요.
VOL.56 April 2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