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5개 마을에서 봉행되는 해녀굿
↑ 영등굿 영등송별제
매해 탐라입춘굿이 끝나고 나면 음력 1월 초부터 3월까지 약 두 달간 해녀굿이 봉행된다. 올해도, 지난 2월 6일 남원읍 신례리를 시작으로 35개 어촌계에서 4월까지 진행되고 있다. 해녀굿은 물질의 무사안녕과 풍어를 기원하기 위한 전통 무속의례로 용왕굿, 영등굿, 잠수굿, 해신제, 수신제 등 다양한 명칭으로 불린다. 해녀굿의 대표격인 영등굿은 풍요를 가져다주는 영등신을 맞이하고 보내는 민속 제례이다. 바람의 신인 영등신이 매년 음력 2월 초하룻날 제주 한림읍 귀덕리
‘복덕개’ 포구를 통해 제주에 찾아와 곡식과 소라, 전복, 미역 등 해산물의 씨를 뿌리고 15일에 우도를 거쳐 고향으로 되돌아간다고 전해진다. 대표적으로 제주시 건입동의 본향당인 칠머리당에서 열리는 칠머리당영등굿은 영등신에 대한 제주도만의 해녀신앙과 민속신앙이 담긴 굿이다. 우리나라 유일의 해녀굿이라는 점에서 그 특이성과 학술적 가치가 인정되어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