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방 in 제주로케이션 in 제주

로케이션 in 제주

영화 <지슬>, 제주 4·3을 말하다
샛노란 유채와 연분홍 벚꽃으로 물드는 제주의 4월은 아름답기만 하다. 하지만 역사 속 제주의 4월은 깊은 상처가 가득 묻어 있다. 참혹했던 근현대사의 상처로 아로새겨진 제주 4·3 사건 때문이다. 이를 잊지 않으려는 듯 여전히 섬 곳곳에 그날의 상처가 남아 있고, 영화 <지슬>은 그 흔적을 담아내고 있다.
편집실 사진제주관광공사

안덕면 동광리
주민들의 이야기

제주 4·3 사건은 1948년 4월 3일 남한의 단독 정부 수립에 반대하며 무장 봉기한 세력을 진압하는 과정에서 토벌대가 무고한 양민들까지 대량 학살한 사건이다.
영화 <지슬>은 당시 군인들을 피해 도너리오름 기슭의 큰넓궤(굴)로 피신했던 안덕면 동광리 주민들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지슬’은 제주어로 감자를 의미한다. 영화에서 주민들은 깜깜한 동굴 속에서 지슬을 나눠 먹으며 동굴 밖의 상황을 이해하지 못해 어리둥절해 있다. 위험을 피해 숨어 있으면서도 두고 온 돼지 먹이를 걱정하고, 이웃집 총각이 언제 장가를 갈지 궁금해 하는 순박한 시골사람들이다.

당시 100여 명에 가까운 주민들이 군인들의 학살을 피해 동굴 안에 숨어 두 달 가까이 숨어 지냈다고 한다. 굴 입구는 겨우 한 사람이 몸을 웅크리고 엉금엉금 기어 들어가야 할 만큼 좁은 곳이었다. 낮은 포복으로 비좁은 길을 지나가면 안쪽에는 사람들이 붙어 앉아 있을 만한 공간이 있기는 하지만 그 많은 인원이 제대로 몸을 뻗기에는 턱없이 부족한 크기였다. 영문도 모른 채 이웃들이 처형되고 고향 마을이 불타 없어지는 모습을 보며 그들은 무슨 생각을 했을까? 얼마나 두렵고 무서웠을지 감히 상상조차 할 수 없다.
큰넓궤 입구
↑큰넓궤 입구

4·3 유적지,
동광리 큰넓궤

동광리 주민들이 숨어 있던 장소는 바로 도너리오름 기슭에 위치한 동광리 큰넓궤(굴)이다. 현재 4·3 유적지로 보존되어 가는 길목에는 안내판과 진입로가 정비되어 있다. 영화에서 군인들이 굴을 발견하고 진입을 시도하는 장면, 주민들이 굴 안에서 불을 피우며 진입을 막는 장면 등이 실제 이곳에서 촬영되었다.
동광리 주민들이 대거 이 굴로 숨어들게 된 것은 11월 15일 중산간마을에 대한 초토화작전이 시행된 이후였다. 주민들이 학살되고 마을이 불타면서 주민들은 여기 저기 숨어 살 수밖에 없었는데, 주로 도너리오름 곶자왈에서 생활했다고 한다.
그러다 큰넓궤를 발견하게 되고 폭설이 쏟아지자 이곳으로 들어가게 되었다. 큰넓궤는 험한 대신 넓었고, 사람들이 숨어 살기에 좋았기 때문이었다. 현재 보존을 위해 실제 동굴 속을 관람할 수는 없지만 주변에 설치된 표지판들을 통해 당시 상황을 조금이나마 확인할 수 있다.
큰넓궤 4·3 유적지
↑큰넓궤 4·3 유적지

영화 속 또 다른 촬영지, 용눈이오름

영화 포스터에 등장하는 장소이자 군인과 순덕의 대치 장면이 촬영된 곳이 바로 용눈이오름이다. 군인들에게 치욕을 당한 뒤 결국 죽음에 이르고 마는 순덕과 그녀를 가슴에 품고 있던 만철이 내달렸던 능선이 순덕의 가슴과 오버랩되면서 가슴 시리도록 아름다운 영상이 탄생된 곳이기도 하다.
용눈이오름은 구좌읍에 위치해 있으며, 해발 247.8m, 높이 88m, 둘레 2,685m 정도 되는 오름으로 360여 개의 오름들 중 유일하게 분화구가 3개이다. 봄, 여름에는 잔디가 가을, 겨울에는 억새가 덮이며 계절마다 다른 절경을 선사하는 곳이다. 한 가운데가 움푹 패어있어 용이 누웠던 자리 같다는 뜻을 담아 용와악(龍臥岳), 용이 놀았던 자리라는 뜻은 담아 용유악(龍遊岳), 용의 얼굴같다 하여 용안악(龍眼岳) 등으로 표기되었는데, 실제로 위에서 내려다보면 화구의 모습이 용의 눈처럼 보이기도 한다.
영화 지슬 포스터
↑영화 지슬 포스터
용눈이오름
↑용눈이오름

삼다소담 웹진

2024년

  • 삼다소담 vol. 46

    vol. 46

  • 삼다소담 vol. 45

    vol. 45

  • 삼다소담 vol. 44

    vol. 44

  • 삼다소담 vol. 43

    vol. 43

  • 삼다소담 vol. 42

    vol. 42

2023년

  • 삼다소담 vol. 41

    vol. 41

  • 삼다소담 vol. 40

    vol. 40

  • 삼다소담 vol. 39

    vol. 39

  • 삼다소담 vol. 38

    vol. 38

  • 삼다소담 vol. 37

    vol. 37

  • 삼다소담 vol. 36

    vol. 36

2022년

  • 삼다소담 vol. 35

    vol. 35

  • 삼다소담 vol. 34

    vol. 34

  • 삼다소담 vol. 33

    vol. 33

  • 삼다소담 vol. 32

    vol. 32

  • 삼다소담 vol. 31

    vol. 31

  • 삼다소담 vol. 30

    vol. 30

  • 삼다소담 vol. 29

    vol. 29

  • 삼다소담 vol. 28

    vol. 28

  • 삼다소담 vol. 27

    vol. 27

  • 삼다소담 vol. 26

    vol. 26

  • 삼다소담 vol. 25

    vol. 25

  • 삼다소담 vol. 24

    vol. 24

2021년

  • 삼다소담 vol. 23

    vol. 23

  • 삼다소담 vol. 22

    vol. 22

  • 삼다소담 vol. 21

    vol. 21

  • 삼다소담 vol. 20

    vol. 20

  • 삼다소담 vol. 19

    vol. 19

  • 삼다소담 vol. 18

    vol. 18

  • 삼다소담 vol. 17

    vol. 17

  • 삼다소담 vol. 16

    vol. 16

  • 삼다소담 vol. 15

    vol. 15

2020년

  • 삼다소담 vol. 14

    vol. 14

  • 삼다소담 vol. 13

    vol. 13

  • 삼다소담 vol. 12

    vol. 12

  • 삼다소담 vol. 11

    vol. 11

  • 삼다소담 vol. 10

    vol. 10

  • 삼다소담 vol. 9

    vol. 9

  • 삼다소담 vol. 8

    vol. 8

  • 삼다소담 vol. 7

    vol. 7

  • 삼다소담 vol. 6

    vol. 6

  • 삼다소담 vol. 5

    vol. 5

  • 삼다소담 vol. 4

    vol. 4

  • 삼다소담 vol. 3

    vol. 3

  • 삼다소담 vol. 2

    vol. 2

2019년

  • 삼다소담 vol. 1

    vol. 1

2024년

2022년

2021년

2020년

삼다소담 웹진 구독신청

삼다소담 웹진 구독신청 하시는 독자분들에게
매월 흥미롭고 알찬 정보가 담긴 뉴스레터를 발송하여 드립니다.
*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이메일 주소 외의 정보는 받지 않습니다.
이메일
구독신청을 취소하시려면 아래 [구독 취소하기] 버튼을 클릭하신 후
취소 신청 이메일을 작성해 주세요.
VOL.45 april 2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