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양한 모습으로 사랑받는 제주의 상징
돌하르방은 제주 3읍이었던 제주목, 정의현, 대정현에 집중적으로 분포되어 있다. 그 외 주변의 마을에서 발견된 것이 없는 것으로 보아 읍성수호신이었음을 가늠해볼 수 있다. 또한 정낭을 걸쳐놓았던 구멍이 있는 경우로 미루어 보아 수문장 역할도 했을 것으로 추측된다.
이 3곳의 읍성에 세워진 돌하르방들은 모양새가 각각 다르다. 제주읍성 돌하르방이 일반적으로 가장 잘 알려진 형태이다. 다른 하르방들에 비해 높이가 더 높고 얼굴의 주름이 가장 많고 할아버지의 모습을 띄고 있다. 대정현 돌하르방은 다른 돌하르방들에 비해 순한 모습을 띠고 있으며 동그란 눈이 부각되어 있다. 마지막 정의현 돌하르방은 가장 단순한 형태로 다른 하르방들은 기본 틀 외에도 신체나 표정 등에 선을 새겼지만, 딱 필요한 부분만 조각한 느낌이 강하다.
↑돌하르방공원
공통점은 현무암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구멍이 뚫려있다. 그러한 현무암의 특징 때문에 투박하면서도 정감있는 모습이 인상적이다. 제일 큰 돌하르방은 사람 키의 2배 이상 되는 것도 있다고. 돌하르방의 종류는 손의 위치에 따라 상징하는 인물이 달라지는데, 오른손이 왼손보다 위에 놓인 돌하르방은 문인(文人)을 상징하고 왼손이 위에 놓인 돌하르방은 무인(武人)을 상징한다. 양손이 평등한 돌하르방은 평민 또는 근래에 만들어진 것이라고 보면 된다.
읍성마다 다른 모습이었던 돌하르방의 변신은 지금도 현재진행형이다. 제주도에 위치한 카카오 본사에는 돌하르방이 노트북을 들고 있다. 제주도의 난타호텔 정문에 있는 돌하르방은 칼춤을 추는 듯한 모습으로 유명하다. 새롭게 각색해 응용하는 사례뿐만 아니라 세계 도시 곳곳에서도 만날 수 있다. 미국 애리조나주, 독일 로렐라이시, 일본 아라카와구 등 제주시와의 친선우호를 기념하며 돌하르방을 기증했기 때문이다. 이처럼 돌하르방은 오늘날에도 대표적인 제주의 상징이자 문화로 많은 이들의 사랑을 받고 있다.
↑카카오 본사 돌하르방
↑난타호텔 돌하르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