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물 돋보기

제주도 물 절약 문화 엿보기
예부터 물이 귀했던 제주도는 물을 길어 나르고 보관하고 아껴 쓰는 물 문화를 가지고 있다. 상수도시설이 들어서며 예전보단 물 살림이 넉넉해졌지만 여전히 제주에는 물을 아끼기 위해 절약했던 시절의 흔적들이 남아 있다.
. 편집실, 사진. 국립국악원, 제주관광공사, 제주시청, 한국중앙연구원, 제주MBC
삼다 제주제주물 돋보기 인쇄

물 한 방울도 아꼈던 물 문화

옛날 제주 여인들은 대부분 해안가에서 솟아나는 용천수를 찾아 물허벅에 지고 물을 긷는 일이 하루 일과의 시작이었다. 물이 귀한 제주도에서는 가장 중요한 일 중 하나였다. 이렇게 길은 물은 온 가족이 함께 써야했기에 한 방울도 허투루 쓸 수 없었다. 첫 물은 보리쌀을 씻는데 쓰였다. 논농사를 짓기에 좋지 않았던 제주 땅에서 쌀은 귀한 것이었고 대부분 보리쌀을 주식으로 끼니를 마련했다. 보리쌀을 씻은 물은 나물 등을 씻는 물로 쓰였다. 한 바가지로 두 번, 세 번 씻는 것이 보통이었다. 나물까지 씻은 세 번째 물은 걸레 등을 헹구는 데 썼다.

물 길어나르는 일이 제일 중요했던 옛 제주 여인의 모습
↑물 길어나르는 일이 제일 중요했던 옛 제주 여인의 모습

용천수의 물도 쓰임에 따라 구분했다. 먹는 물, 채소 씻는 물, 빨래하는 물, 목욕하는 물 등 마을마다 규약이 정해져 있기도 했다. 여인들이 물허벅을 지고 물을 나르는 것 외에도 물을 얻는 방법이 하나 더 있었는데 바로 참항을 두는 것이다. 참은 빗물이 항아리에 담기기 위해 해 놓은 것을 뜻한다. 나무 밑에 항아리를 두고 짚을 넓적하게 엮어 나무줄기를 따라 항아리에 빗물이 흘러내릴 수 있도록 했다. 물 절약 문화는 제주 속담에서도 발견할 수 있다. ‘얼굴 씻을 때 물 많이 쓰면 저승 가서 그 물 다 마셔야 한다’는 것이 대표적. 이처럼 옛날에는 물을 아끼지 않으면 속담에 빗대어 혼나기 일쑤였다.

함덕용천수
↑함덕용천수
참항
↑참항

물 한 방울도 나누던 물 문화

물이 귀한 것은 내 집 만의 일이 아니었기에 제주의 물 절약 문화는 물 나눔 문화로도 이어졌다. 큰 일이 있거나 안 좋은 일이 있을 때 서로 물을 대주며 물을 나누어 썼다. 그것이 바로 물 부조 문화다. 이웃집에 대소사가 있으면 다른 이웃들이 대신 물 항아리를 채워주었다. 물 허벅을 나를 여유가 없는 이웃을 위해 일을 나누어 해준 것이다.

화재가 일어났을 때도 물 부조 문화가 빛을 발했다. 불이 났다고 하면 이웃들이 모두 물 허벅에 물을 담아와 불을 끄는데 일조했다. 집을 지을 때도 물을 나누는 문화가 있었다. 당시에 초가집을 지을 때 찰흙을 뭉쳐가지고 볏짚을 썬 다음 흙에 버무려서 담벼락에 붙이는 식으로 작업을 했는데, 이때 물이 필요했다. 너나 할 것 없이 집을 짓는 이웃을 위해 자기 집 물을 내어다 보태주었다.
한 바가지 물에 곡물도 씻고 나물도 씻고 마지막에 걸레 씻는 물로 마무리할 정도로 물을 아끼면서도 제 이웃에게 나누는 물은 아낌없이 썼던 제주 사람들. 시대에 따라 물의 용도와 쓰임은 달라져왔지만 서로를 돕고 위하던 마음은 여전히 제주인 가슴 속 깊이 자리 하고 있다.

↑물 허벅을 멘 여인
↑물 허벅을 멘 여인
삼다 제주와 함께하는 즐거운 이야기, 삼다소담

Quick menu

삼다소담 웹진 구독신청

삼다소담 웹진 구독신청 하시는 독자분들에게 매월 흥미롭고 알찬 정보가 담긴 뉴스레터를 발송하여 드립니다.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이메일 주소 외의 정보는 받지 않습니다.
구독신청을 취소하시려면 아래 [구독취소신청] 버튼을 클릭하신 후 취소신청 이메일을 작성해주세요. 구독취소신청

삼다소담 웹진 구독취소

삼다소담 웹진 구독을 취소하기 원하시면 아래 입력창에 구독신청하신 본인의 이메일 주소를 입력 후
[구독취소] 버튼을 눌러주세요.
구독을 취소신청하신 경우에는 다음 익월 발행호부터 해당 이메일로 뉴스레터가 발행되지 않는 점을 참고해주세요. 구독신청으로
구독 지난호 페이지상단으로이동

삼다소담 웹진

2024년

  • 삼다소담 vol. 46

    [vol. 46]

  • 삼다소담 vol. 45

    [vol. 45]

  • 삼다소담 vol. 44

    [vol. 44]

  • 삼다소담 vol. 43

    [vol. 43]

  • 삼다소담 vol. 42

    [vol. 42]

2023년

  • 삼다소담 vol. 41

    [vol. 41]

  • 삼다소담 vol. 40

    [vol. 40]

  • 삼다소담 vol. 39

    [vol. 39]

  • 삼다소담 vol. 38

    [vol. 38]

  • 삼다소담 vol. 37

    [vol. 37]

  • 삼다소담 vol. 36

    [vol. 36]

2022년

  • 삼다소담 vol. 35

    [vol. 35]

  • 삼다소담 vol. 34

    [vol. 34]

  • 삼다소담 vol. 33

    [vol. 33]

  • 삼다소담 vol. 32

    [vol. 32]

  • 삼다소담 vol. 31

    [vol. 31]

  • 삼다소담 vol. 30

    [vol. 30]

  • 삼다소담 vol. 29

    [vol. 29]

  • 삼다소담 vol. 28

    [vol. 28]

  • 삼다소담 vol. 27

    [vol. 27]

  • 삼다소담 vol. 26

    [vol. 26]

  • 삼다소담 vol. 25

    [vol. 25]

  • 삼다소담 vol. 24

    [vol. 24]

2021년

  • 삼다소담 vol. 23

    [vol. 23]

  • 삼다소담 vol. 22

    [vol. 22]

  • 삼다소담 vol. 21

    [vol. 21]

  • 삼다소담 vol. 20

    [vol. 20]

  • 삼다소담 vol. 19

    [vol. 19]

  • 삼다소담 vol. 18

    [vol. 18]

  • 삼다소담 vol. 17

    [vol. 17]

  • 삼다소담 vol. 16

    [vol. 16]

  • 삼다소담 vol. 15

    [vol. 15]

2020년

  • 삼다소담 vol. 14

    [vol. 14]

  • 삼다소담 vol. 13

    [vol. 13]

  • 삼다소담 vol. 12

    [vol. 12]

  • 삼다소담 vol. 11

    [vol. 11]

  • 삼다소담 vol. 10

    [vol. 10]

  • 삼다소담 vol. 9

    [vol. 9]

  • 삼다소담 vol. 8

    [vol. 8]

  • 삼다소담 vol. 7

    [vol. 7]

  • 삼다소담 vol. 6

    [vol. 6]

  • 삼다소담 vol. 5

    [vol. 5]

  • 삼다소담 vol. 4

    [vol. 4]

  • 삼다소담 vol. 3

    [vol. 3]

  • 삼다소담 vol. 2

    [vol. 2]

2019년

  • 삼다소담 vol. 1

    [vol. 1]

2022년

2021년

2020년

APP
다운로드
오늘그만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