흐르는 제주 나들이

오백년 전통이 살아있는 마을, 표선면 성읍리
서귀포시 표선면 성읍리는 독특한 제주의 문화재와 생활 풍습이 잘 보존되어 있는 마을이다. 성읍민속마을은 영주산을 비롯해 백약이오름, 본지오름, 무찌오름, 모구리오름 등 많은 오름에 둘러싸여 있는 전형적인 중산간마을로 제주스러움이 가득한 전통마을이다.
글, 사진 전순정, 참고 문헌 제주의 오름, 남제주군지, 표선면역사문화지
삼다 제주흐르는 제주 나들이 인쇄

조선시대 500년 역사의 현장인 성읍민속마을

제주는 방어를 철저히 하기 위해서 1416년(조선 태종16)부터 1914년까지 약 500년 동안 행정구역을 세 개로 나눴다. 한라산 북쪽이 제주목, 한라산 남쪽은 둘로 나눠 서쪽이 대정현, 동쪽이 정의현이었다. 성읍민속마을은 오랜 세월 정의현의 도읍지로 유서 깊은 마을이다. 1423년(세종5) 성산읍 고성리에 있던 정의현 현청을 성읍으로 옮겨 오고 성을 쌓으면서 생겨난 마을로 현재 국가지정 중요민속자료 제188호로 지정되어 관리되고 있다. 마을에서는 매년 정의고을 전통민속재현 축제를 진행하며 제주 전통문화를 이어가려는 노력을 이어가고 있다. 민속마을은 지금도 주민이 거주하고 있어 개방된 곳만 관람할 수 있다. 마을에서 제주의 전통술인 오메기술이나 고소리술을 직접 빚어보는 등의 체험도 할 수 있다. 안내판이 잘 되어 있어 자유롭게 둘러볼 수 있는 곳이다.

  • 민속마을 성곽 ↑ 민속마을 성곽
  • 군민헌(현재의 군청) ↑ 군민헌(현재의 군청)
  • 옛 민가 ↑ 옛 민가
  • 교육시설인 정의향교 ↑ 교육시설인 정의향교

역사의 자취가 느껴지는 느티나무와 원님물

성읍민속마을 한복판에는 ‘천년수’라고 부르는 느티나무가 있는데 주변의 팽나무들과 함께 천연기념물 161호로 지정되었다. 이 나무들은 과거 성읍민속마을을 수호하는 역할을 해왔다고 한다. 나무의 키가 30m, 가슴높이의 줄기 둘레는 5m나 된다고 하니 이 나무를 통해 역사의 깊이를 느낄 수 있었다.

마을을 걷다보니 ‘원님물통’이라는 봉천수가 있었다. 아주 천천히 솟아올라 생수량이 풍부하지는 않았지만 중산간 마을인 이 근처에서는 가장 깨끗한 물이었다고 한다. 양이 적어서 서민의 사용을 금하고 관아에서만 사용했다고 해서 ‘원님물’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고 한다.

마을 주민들은 식수를 어떻게 사용했는지 궁금해서 마을 주민에게 여쭈어보니, 서민들은 고인물을 마시거나 성 밖에 있는 시건이물과 갈메못의 물을 길어다 먹었다고 한다.

마을 중앙에 위치한 느티나무와 팽나무군
↑ 마을 중앙에 위치한 느티나무와 팽나무군
원님물통
↑ 원님물통
원님물통
↑ 원님물통

꼭 가봐야 할 영주산, 백약이오름

성읍민속마을 뒤편에서 마을을 지켜주는 수호신 같은 역할을 했던 영주산을 올랐다. 영주산은 제주오름 중에서 분화구가 온전히 남아있지 않고 한쪽이 터져 내린 분화구로 말굽형 분화구에 속한다. 해발 325m의 낮은 오름으로 올라가기가 쉬울 뿐 아니라 올라가는 길에 큰 나무가 없어서 주변의 풍경을 조망하며 오를 수 있는 산이다. 특히 오르막 중간부터 ‘천국의 계단’이라 부르는 계단이 있는데, 이름처럼 마치 하늘을 향해 올라가는 신비스런 느낌이 들었다. 뒤돌아보는 풍경이 너무 멋져서 계단이 조금도 지루하지 않게 느껴졌다.

정상에 오르면 오른쪽엔 한라산과 오름군락이, 왼쪽엔 멀리 성산일출봉과 우도까지 조망할 수 있는 그림 같은 풍경이 펼쳐진다. 백약이오름은 해발 356m의 오름으로 15분 정도면 정상에 오를 수 있는 쉬운 오름이다. 오름에 자생하는 약초가 백가지가 넘는다 하여 백약이라는 이름이 불렀다고 하는데 실제로 억새보다는 수크렁이라고 불리는 풀(약초로 이용)이 더 많이 보였다. 날씨가 좋아서인지 백약이오름에서도 근사한 오름 군락의 모습과 멀리 한라산의 모습까지 조망할 수 있었다. 백약이 오름에 방문한다면 분화구둘레길도 꼭 걸어보시길 추천한다.

  • 천국의 계단 ↑ 천국의 계단
  • 백약이오름 초입 ↑ 백약이오름 초입
  • 정상 분화구둘레길 ↑ 정상 분화구둘레길

역사 속으로 여행을 떠날 수 있는 성읍리

표선면 성읍리는 사실 별 볼거리가 없다고 생각했었다. 아는 만큼 보이고, 또 아는 만큼 사랑하게 된다는 말이 정말 맞는가 보다. 오름을 오르고 마을을 걸으며 자세히 들여다보니 어느새 성읍을 사랑하고 있었다. 천 년을 살았다는 천년수 앞에서도 고개가 숙여졌고 정의향교앞에 서니 그 옛날 향교에서 글공부 하던 학생들이 상상이 되었다. 예전 같으면 외국관광객으로 가득했을 거리가 다소 쓸쓸하게도 느껴졌지만 잠시 역사 속으로 여행을 다녀온 것 같아 행복하고 보람된 하루였다.

전순정 곶자왈생태해설사, 삼다소담 리포터즈(도민기자)
전순정 곶자왈생태해설사, 삼다소담 리포터즈(도민기자)
제주 사람이 된지 얼마 되진 않았지만 제주와 곶자왈을 사랑하며 세계자연유산인
제주의 모습을 오래도록 지켜보며 살고 싶다.
삼다 제주와 함께하는 즐거운 이야기, 삼다소담

Quick menu

삼다소담 웹진 구독신청

삼다소담 웹진 구독신청 하시는 독자분들에게 매월 흥미롭고 알찬 정보가 담긴 뉴스레터를 발송하여 드립니다.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이메일 주소 외의 정보는 받지 않습니다.
구독신청을 취소하시려면 아래 [구독취소신청] 버튼을 클릭하신 후 취소신청 이메일을 작성해주세요. 구독취소신청

삼다소담 웹진 구독취소

삼다소담 웹진 구독을 취소하기 원하시면 아래 입력창에 구독신청하신 본인의 이메일 주소를 입력 후
[구독취소] 버튼을 눌러주세요.
구독을 취소신청하신 경우에는 다음 익월 발행호부터 해당 이메일로 뉴스레터가 발행되지 않는 점을 참고해주세요. 구독신청으로
구독 지난호 페이지상단으로이동

삼다소담 웹진

2024년

  • 삼다소담 vol. 46

    [vol. 46]

  • 삼다소담 vol. 45

    [vol. 45]

  • 삼다소담 vol. 44

    [vol. 44]

  • 삼다소담 vol. 43

    [vol. 43]

  • 삼다소담 vol. 42

    [vol. 42]

2023년

  • 삼다소담 vol. 41

    [vol. 41]

  • 삼다소담 vol. 40

    [vol. 40]

  • 삼다소담 vol. 39

    [vol. 39]

  • 삼다소담 vol. 38

    [vol. 38]

  • 삼다소담 vol. 37

    [vol. 37]

  • 삼다소담 vol. 36

    [vol. 36]

2022년

  • 삼다소담 vol. 35

    [vol. 35]

  • 삼다소담 vol. 34

    [vol. 34]

  • 삼다소담 vol. 33

    [vol. 33]

  • 삼다소담 vol. 32

    [vol. 32]

  • 삼다소담 vol. 31

    [vol. 31]

  • 삼다소담 vol. 30

    [vol. 30]

  • 삼다소담 vol. 29

    [vol. 29]

  • 삼다소담 vol. 28

    [vol. 28]

  • 삼다소담 vol. 27

    [vol. 27]

  • 삼다소담 vol. 26

    [vol. 26]

  • 삼다소담 vol. 25

    [vol. 25]

  • 삼다소담 vol. 24

    [vol. 24]

2021년

  • 삼다소담 vol. 23

    [vol. 23]

  • 삼다소담 vol. 22

    [vol. 22]

  • 삼다소담 vol. 21

    [vol. 21]

  • 삼다소담 vol. 20

    [vol. 20]

  • 삼다소담 vol. 19

    [vol. 19]

  • 삼다소담 vol. 18

    [vol. 18]

  • 삼다소담 vol. 17

    [vol. 17]

  • 삼다소담 vol. 16

    [vol. 16]

  • 삼다소담 vol. 15

    [vol. 15]

2020년

  • 삼다소담 vol. 14

    [vol. 14]

  • 삼다소담 vol. 13

    [vol. 13]

  • 삼다소담 vol. 12

    [vol. 12]

  • 삼다소담 vol. 11

    [vol. 11]

  • 삼다소담 vol. 10

    [vol. 10]

  • 삼다소담 vol. 9

    [vol. 9]

  • 삼다소담 vol. 8

    [vol. 8]

  • 삼다소담 vol. 7

    [vol. 7]

  • 삼다소담 vol. 6

    [vol. 6]

  • 삼다소담 vol. 5

    [vol. 5]

  • 삼다소담 vol. 4

    [vol. 4]

  • 삼다소담 vol. 3

    [vol. 3]

  • 삼다소담 vol. 2

    [vol. 2]

2019년

  • 삼다소담 vol. 1

    [vol. 1]

2022년

2021년

2020년

APP
다운로드
오늘그만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