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물 돋보기

제주의 하천에는 물이 없다? 냇창
제주를 여행하다보면 거대한 바위와 나무가 울창한 계곡 같은 곳을 자주 보게 된다. 이는 제주 사람들이 ‘냇창’이라고 부르는 하천으로, 평상시에는 물이 없기 때문에 하천 바닥의 암반이 그대로 드러난다. 대신 비가 오면 물이 가득 차서 힘차게 바다로 흘러간다.
. 편집실, 자료. 문화재청
삼다 제주제주물 돋보기 인쇄

제주의 특징적인 하천, 건천

평상시 물이 없이 말라 있는 하천을 건천(乾川)이라고 하는데, 제주의 하천인 냇창은 여름 장마철 등 비가 올 때를 제외하면 말라서 바닥이 드러나 있거나 여기저기 고여있는 물만 보인다. 하지만 장마철에는 그 어느 강보다 세차게 물이 흘러간다. 냇창은 강이라기보다는 계곡과 비슷한 성격을 띤다고 보면 된다. 제주에 육지와 같은 강이 없고 냇창만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 그 이유는 제주 토양층의 특성과 연결된다.

사실 제주는 강수량이 적지 않은 지역이지만, 빗물을 저장할 수 있는 토양층이 거의 없고 암반층이 두꺼워서 지표면에 떨어지는 빗물이 채 흡수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토양층이 빗물로 포화상태가 되면 나머지 물은 넘쳐흐를 수밖에 없고, 이 넘쳐흐른 물이 냇창을 통해 바로 바다로 흘러가버린다. 때문에 냇창은 평상시에는 물이 없는 건천이 되는 것이다.

대표적인 냇창인 효돈천과 천미천
↑ 대표적인 냇창인 효돈천과 천미천

효돈천, 천미천,
한천 등이 대표적

물이 없는 냇창은 그대로 제주의 매력적인 풍광이 되고 있다. 오랜 세월 물이 흘러가며 바위 위에 만들어 놓은 흔적들이 아름다운 곡선을 보이기 때문이다. 대표적인 냇창인 효돈천은 바다와 맞닿은 하류인 쇠소깍으로 유명하지만, 효돈천 자체도 잘 보존된 자연과 독특한 지질구조로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으로 지정된 곳이다.

효돈천은 한라산 백록담 남서벽 아래에서 시작되어 서귀포 쇠소깍까지 약 13km 길이의 건천으로 중간중간 물이 흐르는 곳도 있다. 특히 깊이 11m에 달하는 남내소는 아무리 가물어도 언제나 물이 가득한 곳이다. 남내소에 있는 자연동굴에는 박쥐가 서식하고 있기도 하다. 이외에도 제주에서 가장 긴 하천 천미천, 제주시를 대표하는 하천인 한천 등이 대표적인 냇창이다.

바위와 물의 흔적이 어우러져 독특한 풍광을 가진 냇창
↑ 바위와 물의 흔적이 어우러져 독특한 풍광을 가진 냇창
삼다 제주와 함께하는 즐거운 이야기, 삼다소담

Quick menu

삼다소담 웹진 구독신청

삼다소담 웹진 구독신청 하시는 독자분들에게 매월 흥미롭고 알찬 정보가 담긴 뉴스레터를 발송하여 드립니다.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이메일 주소 외의 정보는 받지 않습니다.
구독신청을 취소하시려면 아래 [구독취소신청] 버튼을 클릭하신 후 취소신청 이메일을 작성해주세요. 구독취소신청

삼다소담 웹진 구독취소

삼다소담 웹진 구독을 취소하기 원하시면 아래 입력창에 구독신청하신 본인의 이메일 주소를 입력 후
[구독취소] 버튼을 눌러주세요.
구독을 취소신청하신 경우에는 다음 익월 발행호부터 해당 이메일로 뉴스레터가 발행되지 않는 점을 참고해주세요. 구독신청으로
구독 지난호 페이지상단으로이동

삼다소담 웹진

2024년

  • 삼다소담 vol. 52

    [vol. 52]

  • 삼다소담 vol. 51

    [vol. 51]

  • 삼다소담 vol. 50

    [vol. 50]

  • 삼다소담 vol. 49

    [vol. 49]

  • 삼다소담 vol. 48

    [vol. 48]

  • 삼다소담 vol. 47

    [vol. 47]

  • 삼다소담 vol. 46

    [vol. 46]

  • 삼다소담 vol. 45

    [vol. 45]

  • 삼다소담 vol. 44

    [vol. 44]

  • 삼다소담 vol. 43

    [vol. 43]

  • 삼다소담 vol. 42

    [vol. 42]

2023년

  • 삼다소담 vol. 41

    [vol. 41]

  • 삼다소담 vol. 40

    [vol. 40]

  • 삼다소담 vol. 39

    [vol. 39]

  • 삼다소담 vol. 38

    [vol. 38]

  • 삼다소담 vol. 37

    [vol. 37]

  • 삼다소담 vol. 36

    [vol. 36]

2022년

  • 삼다소담 vol. 35

    [vol. 35]

  • 삼다소담 vol. 34

    [vol. 34]

  • 삼다소담 vol. 33

    [vol. 33]

  • 삼다소담 vol. 32

    [vol. 32]

  • 삼다소담 vol. 31

    [vol. 31]

  • 삼다소담 vol. 30

    [vol. 30]

  • 삼다소담 vol. 29

    [vol. 29]

  • 삼다소담 vol. 28

    [vol. 28]

  • 삼다소담 vol. 27

    [vol. 27]

  • 삼다소담 vol. 26

    [vol. 26]

  • 삼다소담 vol. 25

    [vol. 25]

  • 삼다소담 vol. 24

    [vol. 24]

2021년

  • 삼다소담 vol. 23

    [vol. 23]

  • 삼다소담 vol. 22

    [vol. 22]

  • 삼다소담 vol. 21

    [vol. 21]

  • 삼다소담 vol. 20

    [vol. 20]

  • 삼다소담 vol. 19

    [vol. 19]

  • 삼다소담 vol. 18

    [vol. 18]

  • 삼다소담 vol. 17

    [vol. 17]

  • 삼다소담 vol. 16

    [vol. 16]

  • 삼다소담 vol. 15

    [vol. 15]

2020년

  • 삼다소담 vol. 14

    [vol. 14]

  • 삼다소담 vol. 13

    [vol. 13]

  • 삼다소담 vol. 12

    [vol. 12]

  • 삼다소담 vol. 11

    [vol. 11]

  • 삼다소담 vol. 10

    [vol. 10]

  • 삼다소담 vol. 9

    [vol. 9]

  • 삼다소담 vol. 8

    [vol. 8]

  • 삼다소담 vol. 7

    [vol. 7]

  • 삼다소담 vol. 6

    [vol. 6]

  • 삼다소담 vol. 5

    [vol. 5]

  • 삼다소담 vol. 4

    [vol. 4]

  • 삼다소담 vol. 3

    [vol. 3]

  • 삼다소담 vol. 2

    [vol. 2]

2019년

  • 삼다소담 vol. 1

    [vol. 1]

2024년

2022년

2021년

2020년

APP
다운로드
오늘그만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