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쿰다(제주를 품다)제주 문화 돋보기

제주 문화 돋보기

제주 해수욕장의 빛나는 여름 풍경
매년 여름, 제주 바다는 모든 기대를 뛰어넘는 아름다움을 선사한다.
제주에는 각기 다른 매력을 지닌 해수욕장이 많다. 편안한 휴식이 필요한 사람도, 모험과 액티비티를 즐기고 싶은 사람도 모두 만족할 수 있다.
이번 여름, 제주 해수욕장 개장 일정을 확인하고, 나만의 여름을 즐겨보자.
편집실 사진포토제주(photo jeju)

에메랄드빛 바다와 평화로운 풍경의 조화
금능해수욕장

 개장일 | 6. 24.(화) ~ 8. 31.(일) 10:00 ~ 19:00
금능해수욕장은 제주도 한림읍 금능리에 위치한 해변으로, 잔잔한 물결과 얕은 수심이 특징이다.
바다 건너 비양도가 정면에 펼쳐지는 이 해변은 시야를 가로막는 요소 없이 탁 트인 풍경을 자랑한다.
부드러운 백사장과 평온한 바다는 가족 단위 여행객에게 특히 사랑받는다.
해변 주변으로는 감성적인 카페와 캠핑장이 밀집해 있어, 하루를 여유롭게 보내기에 적합한 공간이다.
전반적으로 조용하고 정적인 분위기를 지니고 있으며, 제주의 바다를 평화롭게 감상할 수 있는 장소로 손꼽힌다.

서핑과 감성의 성지
월정리해수욕장

 개장일 | 6. 24.(화) ~ 8. 31.(일) 10:00 ~ 19:00
야간개장 | 7. 15.(화) ~ 8. 15.(금) 10:00 ~ 20:00
월정리해수욕장은 제주 동쪽 해안선에 자리한 해변으로, 맑은 물빛과 고운 백사장이 인상적이다.
파도와 햇살이 교차하는 이곳은 서핑을 즐기기에 적합한 조건을 갖추고 있으며, 해안선을 따라 늘어선 감성적인 카페 거리 또한 방문객의 발길을 붙잡는다.
해변 너머로 펼쳐지는 하늘과 바다의 경계는 시간에 따라 다른 분위기를 자아내며, 특히 해 질 무렵의 노을은 많은 여행자들의 기억 속에 깊이 남는다.
월정리는 제주의 트렌디한 감성과 해양 액티비티가 자연스럽게 어우러지는 지역이다.

파도와 모래가 만든 역동의 해변
중문색달해수욕장

개장일 | 6. 30.(월) ~ 8. 31.(일) 10:00 ~ 19:00
중문색달해수욕장은 서귀포시 중문관광단지 내에 위치한 해변으로, 깊고 강한 파도와 넓은 해안선이 특징이다.
제주 남쪽의 대표 해수욕장으로서, 주변의 관광 인프라와 함께 복합적인 휴양을 즐길 수 있는 장점을 지닌다.
강한 조류는 다양한 해양 스포츠를 즐기기에 적합하며, 해변 인근에서는 패러세일링, 바나나보트 등 다양한 액티비티가 활발히 운영되고 있다.
해변 자체는 자연의 역동성과 휴양지의 여유로움이 공존하는 공간으로, 제주 남부의 이국적인 정취를 잘 담고 있다.

맑고 푸른 물빛의 대표 아이콘
협재해수욕장

개장일 | 6. 24.(화) ~ 8. 31.(일) 10:00 ~ 19:00
야간개장 | 7. 15.(화) ~ 8. 15.(금) 10:00 ~ 21:00
협재해수욕장은 제주시 한림읍 협재리에 위치한 해변으로, 맑고 얕은 바닷물과 하얀 모래사장이 조화를 이루는 아름다운 해변이다.
검은 현무암과 에메랄드빛 수면이 대비를 이루며, 제주의 해변 중에서도 뛰어난 경관을 자랑한다.
비양도를 마주한 방향으로 자리 잡고 있어, 탁 트인 시야 속에서 제주의 고유한 해안 풍경을 감상할 수 있다.
수심이 얕고 해류가 잔잔해 수영 초보자나 어린이를 동반한 가족에게도 적합한 환경을 제공한다.
협재는 자연의 조화로움이 살아 있는 해변으로, 제주의 대표적인 힐링 장소로 알려져 있다.

삼다소담 웹진

2025년

  • 삼다소담 vol. 54

    vol. 54

  • 삼다소담 vol. 55

    vol. 55

  • 삼다소담 vol. 56

    vol. 56

  • 삼다소담 vol. 57

    vol. 57

  • 삼다소담 vol. 58

    vol. 58

  • 삼다소담 vol. 59

    vol. 59

  • 삼다소담 vol. 60

    vol. 60

2024년

  • 삼다소담 vol. 53

    vol. 53

  • 삼다소담 vol. 52

    vol. 52

  • 삼다소담 vol. 51

    vol. 51

  • 삼다소담 vol. 50

    vol. 50

  • 삼다소담 vol. 49

    vol. 49

  • 삼다소담 vol. 48

    vol. 48

  • 삼다소담 vol. 47

    vol. 47

  • 삼다소담 vol. 46

    vol. 46

  • 삼다소담 vol. 45

    vol. 45

  • 삼다소담 vol. 44

    vol. 44

  • 삼다소담 vol. 43

    vol. 43

  • 삼다소담 vol. 42

    vol. 42

2023년

  • 삼다소담 vol. 41

    vol. 41

  • 삼다소담 vol. 40

    vol. 40

  • 삼다소담 vol. 39

    vol. 39

  • 삼다소담 vol. 38

    vol. 38

  • 삼다소담 vol. 37

    vol. 37

  • 삼다소담 vol. 36

    vol. 36

2022년

  • 삼다소담 vol. 35

    vol. 35

  • 삼다소담 vol. 34

    vol. 34

  • 삼다소담 vol. 33

    vol. 33

  • 삼다소담 vol. 32

    vol. 32

  • 삼다소담 vol. 31

    vol. 31

  • 삼다소담 vol. 30

    vol. 30

  • 삼다소담 vol. 29

    vol. 29

  • 삼다소담 vol. 28

    vol. 28

  • 삼다소담 vol. 27

    vol. 27

  • 삼다소담 vol. 26

    vol. 26

  • 삼다소담 vol. 25

    vol. 25

  • 삼다소담 vol. 24

    vol. 24

2021년

  • 삼다소담 vol. 23

    vol. 23

  • 삼다소담 vol. 22

    vol. 22

  • 삼다소담 vol. 21

    vol. 21

  • 삼다소담 vol. 20

    vol. 20

  • 삼다소담 vol. 19

    vol. 19

  • 삼다소담 vol. 18

    vol. 18

  • 삼다소담 vol. 17

    vol. 17

  • 삼다소담 vol. 16

    vol. 16

  • 삼다소담 vol. 15

    vol. 15

2020년

  • 삼다소담 vol. 14

    vol. 14

  • 삼다소담 vol. 13

    vol. 13

  • 삼다소담 vol. 12

    vol. 12

  • 삼다소담 vol. 11

    vol. 11

  • 삼다소담 vol. 10

    vol. 10

  • 삼다소담 vol. 9

    vol. 9

  • 삼다소담 vol. 8

    vol. 8

  • 삼다소담 vol. 7

    vol. 7

  • 삼다소담 vol. 6

    vol. 6

  • 삼다소담 vol. 5

    vol. 5

  • 삼다소담 vol. 4

    vol. 4

  • 삼다소담 vol. 3

    vol. 3

  • 삼다소담 vol. 2

    vol. 2

2019년

  • 삼다소담 vol. 1

    vol. 1

2025년

2024년

2022년

2021년

2020년

삼다소담 웹진 구독신청

삼다소담 웹진 구독신청 하시는 독자분들에게
매월 흥미롭고 알찬 정보가 담긴 뉴스레터를 발송하여 드립니다.
*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이메일 주소 외의 정보는 받지 않습니다.
이메일
웹진 구독 후 [구독 이벤트 참여 폼 작성하기] 버튼을 눌러
정보 입력 완료해야 이벤트 참여가 마무리 됩니다!
구독신청을 취소하시려면 아래 [구독 취소하기] 버튼을 클릭하신 후
취소 신청 이메일을 작성해 주세요.
VOL.59 July 2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