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PDC Topic삼다소담이 만난 사람들

삼다소담이 만난 사람들

“제주물 세계포럼은 ‘물’에 대한 JPDC의 진심입니다” 먹는물연구소 강수연 연구원
올해로 14회차를 맞이한 ‘제주물 세계포럼’은 지하수 자원의 중요성과 가치를 재조명하고, 지속가능한 보전과 관리 방안을 모색하는 국제포럼이다. 해마다 세계 지하수 관련 최신 트렌드를 반영한 의제를 설정하고, 제주물의 보존가치에 대해 논의하는 뜻깊은 자리이다. 이 행사를 3년째 진행하고 있는 제주개발공사 먹는물연구소 강수연 연구원을 만나 행사의 의미부터 준비과정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보았다.
편집실 사진정익환
편집실 먼저 연구원님의 간단한 소개 부탁드릴게요.
강수연 연구원 안녕하세요. 먹는물연구소에서 근무하고 있는 강수연 연구원입니다. 저는 주로 먹는물연구소의 다양한 제주삼다수 우수성 연구성과를 활용하여 온·오프라인으로 홍보하는 업무를 맡고 있습니다.
편집실 환경부 지정 먹는물수질검사기관이기도 한 ‘먹는물연구소’는 어떤 곳인가요?
강수연 연구원 먹는물연구소는 2021년 먹는샘물 업계 최초로 환경부 공인을 받은 ‘먹는물 수질검사기관’으로써 먹는물 분석 및 취수원 보전관리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제주삼다수의 청정 원수의 안정적 품질 관리와 제주삼다수 수원지의 우수성을 연구하고 있어요. 이를 통해 제주삼다수의 브랜드 가치를 높이고, 소비자들에게 안전하고 깨끗한 물을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먹는샘물에 대해 설명 중인 강수연 연구원
↑먹는샘물에 대해 설명 중인 강수연 연구원
편집실 올해로 14회차를 맞이한 제주물 세계포럼을 직접 준비하셨다고요? 어떤 과정을 거치는지 궁금합니다.
강수연 연구원 2020년도 입사 이후 12회 제주물 세계포럼 행사를 시작으로 13회·14회까지 담당하고 있습니다. 해마다 제일 고민이 되는 건 포럼의 주제를 설정하는 일이에요. 매해 진행되는 행사이기 때문에, 직전 행사와는 다른 이슈를 다루면서 지하수와 먹는샘물 관련 최신 트렌드를 반영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거든요. 그 다음으로는 국내외 지하수 및 먹는물 전문가들을 초청하여 발표를 구상하고, 그들과 함께 세션을 기획해요. 또한, 행사의 성공적인 개최를 위해 홍보도 중요하죠. 마지막으로, 행사의 꽃이라고 생각하는 전시 및 부대행사를 구상하고 기획합니다. 전시 테마는 매해 비슷하게 진행되지만, 구성은 매년 조금씩 다르게 하여 참가자들의 흥미를 유발하고, 전문가들과 비전문가들이 소통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들고자 노력하고 있어요.
제13, 14회 제주물 세계포럼 포스터
↑제13, 14회 제주물 세계포럼 포스터
편집실 올해 포럼에는 어떤 의제가 다뤄졌나요?
강수연 연구원 올해 포럼에서 가장 주목해야 할 의제는 ‘지하수의 가치’입니다. 보이지 않는 물 지하수가 전 세계적으로 얼마나 중요한 가치를 가지고 있고, 이 가치를 어떻게 활용해야 할지에 대한 깊이 있는 논의를 나눌 수 있었어요. 지하수라는 게 실제로 얼마나 있는지 어떻게 만들어지는지에 대해 눈으로 볼 수 없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그 가치를 간과하고 있다고 생각해요. 이번 포럼을 통해서 지하수의 가치가 얼마나 중요하고, 또 앞으로 이런 가치를 우리가 어떻게 지켜나가야 하는지에 대해 함께 고민할 수 있는 시간을 만들려고 했어요.
제12회 제주물 세계포럼_프랑스 광물지질연구원 마르샬 장 크리스토프 박사
↑제12회 제주물 세계포럼_프랑스 광물지질연구원 마르샬 장 크리스토프 박사
제13회 제주물 세계포럼 현장 이미지
↑제13회 제주물 세계포럼 현장 이미지
편집실 준비했던 회차 중 기억에 남는 때를 꼽는다면?
강수연 연구원 모든 행사가 나름의 의미로 기억에 많이 남지만 아무래도 그 중 가장 기억에 남는 건 올해 개최된 14회 행사인 것 같아요. 이번 행사를 준비하면서 단순히 행사를 기획하는 입장이 아니라, 행사의 참가자 입장을 생각하면서 어떤 행사가 과연 더 많은 여운과 의미가 남을 수 있을까를 많이 고민했던 것 같아요. 특히, 이번 포럼은 그 간 준비했던 회차 중에서 가장 많은 도전과 새로운 시도를 많이 도입했기 때문에 더 기억에 남아요. 특히 비전문가와 일반참가자 등 다양한 계층을 대상으로 홍보를 확대하기 위해 ‘제주물 세계포럼 공식 SNS’를 개설하여 포럼에 대한 정보를 널리 알리려고 했어요.
jejuwaterforum 인스타그램
↑jejuwaterforum 인스타그램
편집실 새로운 시도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소개해주세요.
강수연 연구원 포럼 최초로 Green-MICE를 지향하여 각종 전시・행사 운영을 재활용이 가능한 소재 사용 등 친환경적인 대안을 많이 이용했어요. 이러한 행사 운영을 통해 참가자들의 지속가능한 행사와 자원 보호에 대한 중요성을 간접적으로 느낄 수 있게 하려고 했죠. 그리고 참가자들과 소통을 더욱 강화하기 위해 다양한 체험프로그램도 처음으로 시도했어요. 참가자 자원순환 체험 프로그램을 통해 참가자들에게 자연스럽게 공사의 친환경 가치를 홍보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들었습니다. 이러한 새로운 시도들이 처음에는 쉽지 않았지만 결국 많은 분들이 긍정적으로 반응해 주셔서 큰 성취감을 느꼈어요. 올해 포럼은 단순한 행사 이상으로, 참가자들에게 깊은 여운을 남길 수 있었던 것 같아 정말 뿌듯합니다. 앞으로도 많은 고민을 통해 계속해서 공감하고 발전해날 수 있는 제주물 세계포럼을 만들고 싶어요.
제주삼다수 제작과정을 담은 전시부스
↑제주삼다수 제작과정을 담은 전시부스
편집실 지하수 보존이나 제주 환경문제 등 꾸준히 언급되는 현안들이 있는데요. 담당자로서 의견이 궁금합니다.
강수연 연구원 지하수 보존과 제주 환경문제는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 필수적으로 고려해야 할 중요한 이슈입니다. 제주도는 독특한 자연환경을 보유하고 있어 환경 변화나 오염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우려가 높습니다. 이러한 사회적 관심과 우려에 대응하여, 제주의 소중한 자원인 지하수를 지속 가능하게 관리하고, 제주 지하수만이 가진 독특한 가치를 널리 확산하는 것이 우리공사의 중요한 과제 중 하나라고 생각해요.
편집실 연구자로서 관심을 가지고 있는 부분이라든지, 여러 문제들 중 해결하기 위해 특히 노력하고 있는 부분이 있을까요?
강수연 연구원 개인적으로는 지하수의 가치 창출과 발견에 큰 관심을 가지고 있어요. 지하수는 우리가 그 가치를 충분히 인식하지 못하는 숨겨진 자원이라고 생각해요 그렇기 때문에 저는 지하수의 중요성과 가치를 대중에게 알리는 데 힘쓰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제주물 세계포럼을 개최하여, 많은 사람들이 서로 협력하고 소통하며 지하수의 지속 가능한 관리 방안을 모색하는 자리를 마련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노력을 통해 제주도민들이 지하수의 소중함을 인식하고 스스로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이러한 모두의 노력이 지하수의 가치를 재발견하고, 제주 지하수의 가치 보전에 기여할 수 있기를 희망합니다. 앞으로도 제주 물의 소중함을 널리 알리고, 많은 사람들이 함께 노력할 수 있는 소통의 장을 만들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입니다.
편집실 마지막으로 앞으로의 포부, 하고 싶은 말씀 등을 부탁드립니다.
강수연 연구원 앞으로의 포부는 제주물 세계포럼을 제주 물의 가치 보전과 물 산업 발전을 위한 중요한 플랫폼으로 발전시키는 것입니다. 제주 물의 가치를 지속적으로 창출하고 활용하는 것이 우리 공사와 제주도에서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다고 생각해요. 포럼을 통해 더 많은 사람들과 소통하고 협력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들고자 합니다. 특히 지역 주민들과의 연계를 강화하여 그들이 직접 참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확대하고, 지하수와 같은 소중한 자원의 가치를 함께 발견해 나가고 싶어요. 마지막으로 제주물 세계포럼이 제주도민과 많은 사람들에게 의미 있는 행사로 자리 잡기를 바라며, 앞으로도 많은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지하수의 소중함을 알리고 싶다는 강수연 연구원
↑지하수의 소중함을 알리고 싶다는 강수연 연구원

삼다소담 웹진

2025년

  • 삼다소담 vol. 54

    vol. 54

  • 삼다소담 vol. 55

    vol. 55

  • 삼다소담 vol. 56

    vol. 56

2024년

  • 삼다소담 vol. 53

    vol. 53

  • 삼다소담 vol. 52

    vol. 52

  • 삼다소담 vol. 51

    vol. 51

  • 삼다소담 vol. 50

    vol. 50

  • 삼다소담 vol. 49

    vol. 49

  • 삼다소담 vol. 48

    vol. 48

  • 삼다소담 vol. 47

    vol. 47

  • 삼다소담 vol. 46

    vol. 46

  • 삼다소담 vol. 45

    vol. 45

  • 삼다소담 vol. 44

    vol. 44

  • 삼다소담 vol. 43

    vol. 43

  • 삼다소담 vol. 42

    vol. 42

2023년

  • 삼다소담 vol. 41

    vol. 41

  • 삼다소담 vol. 40

    vol. 40

  • 삼다소담 vol. 39

    vol. 39

  • 삼다소담 vol. 38

    vol. 38

  • 삼다소담 vol. 37

    vol. 37

  • 삼다소담 vol. 36

    vol. 36

2022년

  • 삼다소담 vol. 35

    vol. 35

  • 삼다소담 vol. 34

    vol. 34

  • 삼다소담 vol. 33

    vol. 33

  • 삼다소담 vol. 32

    vol. 32

  • 삼다소담 vol. 31

    vol. 31

  • 삼다소담 vol. 30

    vol. 30

  • 삼다소담 vol. 29

    vol. 29

  • 삼다소담 vol. 28

    vol. 28

  • 삼다소담 vol. 27

    vol. 27

  • 삼다소담 vol. 26

    vol. 26

  • 삼다소담 vol. 25

    vol. 25

  • 삼다소담 vol. 24

    vol. 24

2021년

  • 삼다소담 vol. 23

    vol. 23

  • 삼다소담 vol. 22

    vol. 22

  • 삼다소담 vol. 21

    vol. 21

  • 삼다소담 vol. 20

    vol. 20

  • 삼다소담 vol. 19

    vol. 19

  • 삼다소담 vol. 18

    vol. 18

  • 삼다소담 vol. 17

    vol. 17

  • 삼다소담 vol. 16

    vol. 16

  • 삼다소담 vol. 15

    vol. 15

2020년

  • 삼다소담 vol. 14

    vol. 14

  • 삼다소담 vol. 13

    vol. 13

  • 삼다소담 vol. 12

    vol. 12

  • 삼다소담 vol. 11

    vol. 11

  • 삼다소담 vol. 10

    vol. 10

  • 삼다소담 vol. 9

    vol. 9

  • 삼다소담 vol. 8

    vol. 8

  • 삼다소담 vol. 7

    vol. 7

  • 삼다소담 vol. 6

    vol. 6

  • 삼다소담 vol. 5

    vol. 5

  • 삼다소담 vol. 4

    vol. 4

  • 삼다소담 vol. 3

    vol. 3

  • 삼다소담 vol. 2

    vol. 2

2019년

  • 삼다소담 vol. 1

    vol. 1

2025년

2024년

2022년

2021년

2020년

삼다소담 웹진 구독신청

삼다소담 웹진 구독신청 하시는 독자분들에게
매월 흥미롭고 알찬 정보가 담긴 뉴스레터를 발송하여 드립니다.
*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이메일 주소 외의 정보는 받지 않습니다.
이메일
웹진 구독 후 [구독 이벤트 참여 폼 작성하기] 버튼을 눌러
정보 입력 완료해야 이벤트 참여가 마무리 됩니다!
구독신청을 취소하시려면 아래 [구독 취소하기] 버튼을 클릭하신 후
취소 신청 이메일을 작성해 주세요.
VOL.52 November 2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