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쿰다(제주를 품다)제주 문화 돋보기

제주 문화 돋보기

자연과 인공이 빚어낸 아름다움 제주도 돌담
제주도 돌담은 대한민국 정부가 선정한 100대 민족문화상징 중 하나이다. 여기서 ‘문화상징’이란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며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유형, 무형의 문화유산을 말한다. 제주도 돌담과 함께 태극기, 무궁화, 독도, 길거리 응원, 강릉단오제 등이 포함되어 있다.
참고자료.전통문화포털 홈페이지(www.kculture.or.kr) > 100대 민족문화상징

제주에 특히 유별난 돌담

돌담은 어느 나라에나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돌담은 흔하게 볼 수 있다. 그럼에도 제주도 돌담이 문화상징으로 선정된 이유는 무엇일까? 바로 제주처럼 전 지역에 걸쳐 전일적으로 돌담이 이루어져 있는 경우는 유례를 찾아볼 수 없을 만큼 유별나기 때문이다. 제주는 화산섬으로 흔히 돌이 많고 바람이 많고 여자가 많다고 하여, 삼다도라 불렸다. 그 중에서도 돌이 많은 섬인데, 산과 들과 갯가를 온통 돌밭으로 만들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이다.

조선시대 옛 선비들이 남긴 기록에도 ‘땅은 돌이 많아 흙은 몇 치만 덮여있다(김상헌)’, ‘섬 주위가 온통 뾰족뽀족하고 괴상한 돌로 되어 있다(이형상)’고 적혀있을 만큼 제주문화의 핵심은 돌밭에서 태어났다고 할 수 있다. 돌담도 그 중 하나라 할 수 있는 것이다. 산과 들에는 산담, 집에는 집담, 바다에는 바당빌레, 고기를 잡는 원담에 이르기까지, 심지어 무덤에도 담을 쌓았다.
돌담
돌담

제주의 삶이 고스란히 담긴 공간

제주도돌담의 특징은 그 높이에 있다. 이유인즉 말의 침범을 막고 바람으로부터 화산토가 날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높게 쌓은 것이다. 살림집에는 처마 끝과 돌담의 위가 맞붙게 만들어 바람이 들어설 틈을 주지 않는다. 바닷가에는 조간대에 돌담을 쌓아 밀물에 들어온 고기가 썰물에 갇히어 잡히도록 했다. 해녀들이 옷을 갈아입고 쉬는 공간에도, 마을의 신당을 모신 성스러운 공간에도 돌담을 쌓았다. 이외에도 지형도상에 나타나는 상잣담이나 하잣담, 환해장성(環海長城)은 밭담 등과 어울려 제주도로 하여금 흑룡만리(黑龍萬里)의 섬이라 불리도록 하였다. 중국의 만리장성을 황룡만리라 부르는 것을 빗댄 표현으로, 끊어지지 않고 이어지는 총연장 9,700리의 제주도 만리잣담을 부르는 명칭이다.

이처럼 제주도민에게 돌담은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 한시도 눈길에서 놓을 수 없는 공간이다. 태어나길 돌 구들 위에서 태어나고 죽어서는 산담에 둘러싸인 작지왓(자갈밭)의 묘 속에 묻힌다. 사는 집의 벽체가 돌이며, 울타리와 올래, 그리고 수시로 밟고 다니는 잇돌(디딤돌), 산길은 물론 밭길, 심지어 어장길도 모두 돌길이다.

때로는 삶 그 자체의 현실이자, 건축적 미감으로 제주도민의 정신과 생활의 구심점이 되어온 돌담. 아름다운 돌담들이 빚어내는 자연의 풍광은 그 자체로 제주도 풍경의 재발견이라 부름직하다. 더불어 어디에나 있지만 이토록 철저하게 돌담문화를 이룬 곳은 제주가 거의 유일하다 할 수 있으니 지키고 보존해야 할 민족문화상징임에 분명하다.
돌담
돌담

삼다소담 웹진

2024년

  • 삼다소담 vol. 52

    vol. 52

  • 삼다소담 vol. 51

    vol. 51

  • 삼다소담 vol. 50

    vol. 50

  • 삼다소담 vol. 49

    vol. 49

  • 삼다소담 vol. 48

    vol. 48

  • 삼다소담 vol. 47

    vol. 47

  • 삼다소담 vol. 46

    vol. 46

  • 삼다소담 vol. 45

    vol. 45

  • 삼다소담 vol. 44

    vol. 44

  • 삼다소담 vol. 43

    vol. 43

  • 삼다소담 vol. 42

    vol. 42

2023년

  • 삼다소담 vol. 41

    vol. 41

  • 삼다소담 vol. 40

    vol. 40

  • 삼다소담 vol. 39

    vol. 39

  • 삼다소담 vol. 38

    vol. 38

  • 삼다소담 vol. 37

    vol. 37

  • 삼다소담 vol. 36

    vol. 36

2022년

  • 삼다소담 vol. 35

    vol. 35

  • 삼다소담 vol. 34

    vol. 34

  • 삼다소담 vol. 33

    vol. 33

  • 삼다소담 vol. 32

    vol. 32

  • 삼다소담 vol. 31

    vol. 31

  • 삼다소담 vol. 30

    vol. 30

  • 삼다소담 vol. 29

    vol. 29

  • 삼다소담 vol. 28

    vol. 28

  • 삼다소담 vol. 27

    vol. 27

  • 삼다소담 vol. 26

    vol. 26

  • 삼다소담 vol. 25

    vol. 25

  • 삼다소담 vol. 24

    vol. 24

2021년

  • 삼다소담 vol. 23

    vol. 23

  • 삼다소담 vol. 22

    vol. 22

  • 삼다소담 vol. 21

    vol. 21

  • 삼다소담 vol. 20

    vol. 20

  • 삼다소담 vol. 19

    vol. 19

  • 삼다소담 vol. 18

    vol. 18

  • 삼다소담 vol. 17

    vol. 17

  • 삼다소담 vol. 16

    vol. 16

  • 삼다소담 vol. 15

    vol. 15

2020년

  • 삼다소담 vol. 14

    vol. 14

  • 삼다소담 vol. 13

    vol. 13

  • 삼다소담 vol. 12

    vol. 12

  • 삼다소담 vol. 11

    vol. 11

  • 삼다소담 vol. 10

    vol. 10

  • 삼다소담 vol. 9

    vol. 9

  • 삼다소담 vol. 8

    vol. 8

  • 삼다소담 vol. 7

    vol. 7

  • 삼다소담 vol. 6

    vol. 6

  • 삼다소담 vol. 5

    vol. 5

  • 삼다소담 vol. 4

    vol. 4

  • 삼다소담 vol. 3

    vol. 3

  • 삼다소담 vol. 2

    vol. 2

2019년

  • 삼다소담 vol. 1

    vol. 1

2024년

2022년

2021년

2020년

삼다소담 웹진 구독신청

삼다소담 웹진 구독신청 하시는 독자분들에게
매월 흥미롭고 알찬 정보가 담긴 뉴스레터를 발송하여 드립니다.
*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이메일 주소 외의 정보는 받지 않습니다.
이메일
구독신청을 취소하시려면 아래 [구독 취소하기] 버튼을 클릭하신 후
취소 신청 이메일을 작성해 주세요.
VOL.42 January 2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