흐르는 제주 나들이

제주의 다채로운 매력을 품고 있는 구좌읍 하도리
바다와 맞닿아 있는 동쪽 마을, 하도리는 제주 바닷가 마을의 여유로움을 고스란히 품고 있다. 눈이 시리도록 푸른 바다와 절경을 자랑하는 해안도로, 제주의 농업유산인 밭담길과 잘 보존되어 있는 해녀 문화, 그리고 철새 도래지까지 제주의 다채로운 매력을 그대로 보여주고 있다. 삼다소담 리포터즈가 직접 찾아간 제주 하도리 마을과 물 이야기를 들어본다.
글, 사진. 김지원 리포터즈(도민기자) 자료. 제주관광공사, 제주특별자치도
삼다 제주흐르는 제주 나들이 인쇄

하도리를 대표하는 하도포구와 별방진

제주시 구좌읍 하도리는 한라산 동쪽 끝 해안가에 위치하며 해발 고도 50m 이하의 낮은 평지로 이루어져 있다. 푸른 에메랄드 빛 바다가 넓게 펼쳐져 있고 작은 주택들이 옹기종기 모여 있는 평화롭고 한적한 마을이다.

하도포구 바로 맞은편에는 마을을 둘러싸고 있는 돌담 성곽을 볼 수 있다. 이 성곽은 제주도 기념물 24호인 별방진이라고 한다. 조선시대에 왜구의 침입을 막기 위해서 축조한 성이다. 성벽으로 올라가면 성벽 아래로 하도포구와 예쁜 에메랄드 빛 바다를 볼 수 있었다.

별로 높지 않아 보였는데 돌계단을 올라 성벽 위에 올라가보니 다른 풍경을 만날 수 있었다. 둘레 약 724m, 높이 약 2m 정도라고 하는데, 높이가 있어서 바람도 꽤 거센 편이었다.

↓하도해수욕장
하도해수욕장 하도포구 앞 별방진
↑하도포구 앞 별방진

제주다움을 고스란히 담은 성곽 안 마을

별방진은 제주의 3성 9진의 방어체계중 ‘진’을 담당했다. 조선 중종 5년(1510)에 목사 장림(張琳)이 왜선의 정박지가 근처의 우도에 있어 위험하다고 판단하고, 성을 쌓은 뒤 김녕에 있던 진을 하도리로 옮겨 별방이라 이름 지었다고 한다. 별방진은 현무암을 깎아 정교하게 만들어져서 튼튼하고 진성들 중에서 규모가 가장 컸다고 한다.
남쪽이 높고 북쪽이 낮은 지형을 이용하여 쌓았으며 성곽은 타원형을 이루고 있다. 제주도에 있는 성곽들 중 비교적 성벽이 많이 남아있어 당시 이 지역의 성 쌓는 방법과 규모를 알아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로 여겨진다고 한다.
성곽 안쪽으로 들어가보니 유채꽃들과 작은 집들이 옹기종기 모여져 있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성곽 안쪽 마을은 별방진이 문화재로 지정되면서 옛 모습을 그대로 간직해 왔다고 한다. 별방진 안에 모여있는 빨강, 파랑 지붕들을 보며 제주다움을 물씬 느낄 수 있었다.

별방진 성곽 안 마을 풍경
↑별방진 성곽 안 마을 풍경
별방진 성곽을 오르는 사람들
↑별방진 성곽을 오르는 사람들

제주의 역사와 풍경을 껴안은 하도리

마을 안쪽으로 들어가면 우물을 볼 수 있는데 이 우물은 마을에서 가장 오래된 우물이라고 한다. 원래 식수로 봉천수와 용천수를 이용하다가 1930년대에 들어서는 동네마다 우물을 만들어 이용하였다. 제주도 안무어사로 부임했던 김상헌의 남사록(1601)에 “별방진성 내에 우물이 하나 있는데 그 맛은 짜다”라고 기록해 놓았다고 한다.
하도리는 바다와 마을이 예쁜 마을이라고만 생각하고 있었는데 이번 계기를 통해 별방진과 하도리 구석구석을 걸으며 제주의 역사와 아름다운 풍경을 함께 느낄 수 있어서 기억에 남는 하루였다.

  • 서문동 우물 ↑서문동 우물
  • 하도리 마을풍경 ↑하도리 마을풍경
  • 하도리 마을풍경 ↑하도리 마을풍경
  • 하도리 마을풍경 ↑하도리 마을풍경
김지원 삼다소담 리포터즈(도민기자)
김지원 삼다소담 리포터즈(도민기자)
제주도민들이 제주개발공사를 더 친숙하게 느낄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활동하고 있다.
삼다 제주와 함께하는 즐거운 이야기, 삼다소담

Quick menu

삼다소담 웹진 구독신청

삼다소담 웹진 구독신청 하시는 독자분들에게 매월 흥미롭고 알찬 정보가 담긴 뉴스레터를 발송하여 드립니다.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이메일 주소 외의 정보는 받지 않습니다.
구독신청을 취소하시려면 아래 [구독취소신청] 버튼을 클릭하신 후 취소신청 이메일을 작성해주세요. 구독취소신청

삼다소담 웹진 구독취소

삼다소담 웹진 구독을 취소하기 원하시면 아래 입력창에 구독신청하신 본인의 이메일 주소를 입력 후
[구독취소] 버튼을 눌러주세요.
구독을 취소신청하신 경우에는 다음 익월 발행호부터 해당 이메일로 뉴스레터가 발행되지 않는 점을 참고해주세요. 구독신청으로
구독 지난호 페이지상단으로이동

삼다소담 웹진

2024년

  • 삼다소담 vol. 46

    [vol. 46]

  • 삼다소담 vol. 45

    [vol. 45]

  • 삼다소담 vol. 44

    [vol. 44]

  • 삼다소담 vol. 43

    [vol. 43]

  • 삼다소담 vol. 42

    [vol. 42]

2023년

  • 삼다소담 vol. 41

    [vol. 41]

  • 삼다소담 vol. 40

    [vol. 40]

  • 삼다소담 vol. 39

    [vol. 39]

  • 삼다소담 vol. 38

    [vol. 38]

  • 삼다소담 vol. 37

    [vol. 37]

  • 삼다소담 vol. 36

    [vol. 36]

2022년

  • 삼다소담 vol. 35

    [vol. 35]

  • 삼다소담 vol. 34

    [vol. 34]

  • 삼다소담 vol. 33

    [vol. 33]

  • 삼다소담 vol. 32

    [vol. 32]

  • 삼다소담 vol. 31

    [vol. 31]

  • 삼다소담 vol. 30

    [vol. 30]

  • 삼다소담 vol. 29

    [vol. 29]

  • 삼다소담 vol. 28

    [vol. 28]

  • 삼다소담 vol. 27

    [vol. 27]

  • 삼다소담 vol. 26

    [vol. 26]

  • 삼다소담 vol. 25

    [vol. 25]

  • 삼다소담 vol. 24

    [vol. 24]

2021년

  • 삼다소담 vol. 23

    [vol. 23]

  • 삼다소담 vol. 22

    [vol. 22]

  • 삼다소담 vol. 21

    [vol. 21]

  • 삼다소담 vol. 20

    [vol. 20]

  • 삼다소담 vol. 19

    [vol. 19]

  • 삼다소담 vol. 18

    [vol. 18]

  • 삼다소담 vol. 17

    [vol. 17]

  • 삼다소담 vol. 16

    [vol. 16]

  • 삼다소담 vol. 15

    [vol. 15]

2020년

  • 삼다소담 vol. 14

    [vol. 14]

  • 삼다소담 vol. 13

    [vol. 13]

  • 삼다소담 vol. 12

    [vol. 12]

  • 삼다소담 vol. 11

    [vol. 11]

  • 삼다소담 vol. 10

    [vol. 10]

  • 삼다소담 vol. 9

    [vol. 9]

  • 삼다소담 vol. 8

    [vol. 8]

  • 삼다소담 vol. 7

    [vol. 7]

  • 삼다소담 vol. 6

    [vol. 6]

  • 삼다소담 vol. 5

    [vol. 5]

  • 삼다소담 vol. 4

    [vol. 4]

  • 삼다소담 vol. 3

    [vol. 3]

  • 삼다소담 vol. 2

    [vol. 2]

2019년

  • 삼다소담 vol. 1

    [vol. 1]

2022년

2021년

2020년

APP
다운로드
오늘그만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