흐르는 제주 나들이

자연이 선사한 풍부한 용천수의 마을,구좌읍 김녕리
거문오름에서 흘러 내려온 뜨거운 용암이 만든 김녕. 하천은 없지만 자연이 선사한 풍부한 용천수 덕분에 ‘용천수 마을’인 김녕이 생겨났다. 김녕의 용천수 탐방은 김녕마을 초입에 있는 영등물(김녕항) 바닷가에서부터 시작하면 된다.김녕마을에는 13개의 용천수가 있었다고 전해지지만 현재 9군데 정도만이 보존되고 있었다. 생활용수로 사용되었던 청굴물, 영등물, 모래밭물, 농업용으로 사용됐던 흐른물, 고냥물, 개웃샘물 그리고 지금은 흔적만 남아 있는 수감물을 찾아가 보았다.
글, 사진 전순정, 참고자료 제주 용천수이야기, 김녕리지(金寜里誌)
삼다 제주흐르는 제주 나들이 인쇄

김녕항 앞바다에서 솟구치는‘영등물’과 ‘모랫밭물’

김녕항 서쪽에는 바다에서 용천수 솟는 곳이 많이 있다. 용천수가 나오는 안쪽에는 ‘영등당(서문하르방당)’이라고 하는 당이 있는데 지금도 마을분들이 제를 올리는 장소로도 사용되고 있는 곳으로 관리가 잘 되고 있다. 영등물은 제를 지낼 때 또는 주민들이 몸을 씻거나 생활 용수로 사용해왔다.
영등물을 시작으로 김녕마을 10경 중 하나인 바당길이 예쁘게 조성되어 걷기 좋은 길이 됐다. 영등물에서 동쪽으로 200미터 정도만 걸어가면 모랫밭물이라는 용천수가 보인다. 목욕은 물론 식수로도 이용되던 모랫밭물은 현재 복원되어 더운 여름날 발을 담그며 휴식할 수 있는 공간이 되었다.

영등당
↑ 영등당
모랫밭물
↑ 모랫밭물

잊혀져 가는수감물과 고냥물 그리고 흐른물

이름만 있는 이 세 개의 용천수를 찾는 데는 한참의 시간이 걸렸다.
이정표도, 아는 이도 없이 잊혀져 가고 있는 용천수이기 때문이었다. 묻기를 여러 번 하고 백련사 근처에 있다는걸 알아냈지만 몇 바퀴를 돌고서야 그 흔적을 찾을 수 있었다. 백련사를 지나 동쪽으로 농로를 따라가다 보면 멀리 수감물을 지키고 있다는 커다란 팽나무가 보이고 그 길을 따라가면 수감물터가 있다. 오랫동안 인적이 없었는지 거미줄을 헤치고서야 가까이 볼 수 있었다. 궤 앞에는 식수통, 그 뒤로는 일자형 빨래터가 있으며 여름에는 여자들이 목욕을 했다고 전해지고 있다.

↓ 수감물
수감물

수감물과 흐른물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고냥물은 돌구멍에서 물이 솟아난다고 해서 고냥물이라 불렀는데, 바다의 영향으로 짠맛이 나서 식수로 사용하기보다는 남자들이 목욕하는 물로 사용했었다고 하는 용천수였다. 고냥물에서도 보이는 흐른물은 동네 가까이에 있는 산물이다. 이 산물은 팽나무 밑 아래서 산물이 흐르듯 나온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으로 식수로 사용했으며 여자전용 산물이었다.

고냥물
↑ 고냥물
수감물을 지키는 팽나무
↑ 수감물을 지키는 팽나무
흐른물
↑ 흐른물

김녕의 자랑 청굴물

흐른물을 지나 동네로 들어가 본다. 마을이 정말 깨끗하고 정리가 잘 되어 있었다. 김녕벽화마을거리에는 그림벽화와 금속으로 만들어진 벽화가 전시되어 있어서 올레길 20코스를 걷는 이들이 심심하지 않을 것 같았다.
청굴물은 김녕의 최고 자랑인 만큼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었다. 아픈 이들에게는 치유의 물, 동네 아이들에게는 수영장이 되어 주었다. 찾아간 시간이 간조 때여서 물이 많진 않았지만 만조 때가 되면 안으로 들어가 보기도 힘들다고 한다. 물이 맑고 푸른빛을 내서 보기만 해도 시원한 느낌이 들었다.
농사꾼에게는 소와 함께 잠시 쉬어갈 수 있는 곳이었다는 청굴물은 그 유명세에 걸맞게 많은 사람들이 찾아왔다. 김녕의 자랑으로 손색이 없는 곳이었다.

김녕10경 중 하나인 바당길
↑ 김녕10경 중 하나인 바당길
청굴물
↑ 청굴물

마을 한가운데 동굴에서 솟아나오는 물,개웃샘물

게웃샘물은 마을 한가운데 땅 아래 동굴 속에서 용천수가 솟고 있는 곳이다. 동굴은 입구가 수직 형태이며 폭 5m, 길이 300m 정도이며 물줄기가 바닷물과 이어져 있다고 한다. 밀물 때는 바닷물과 섞여 염분이 좀 남아 있지만 썰물 때는 담수가 맑고 차갑다. 마을 행사 때는 꼭 이 물을 사용하였으며 가정에서 제사 시에 이 물을 사용하기도 했었다고 한다. 현재 개웃샘물 입구에는 철문이 설치되어 동굴까지 내려가 볼 수는 없다. 철문을 붙잡고 아래를 내려다보니 개웃샘물의 깨끗한 물이 어렴풋이 보였다. 아직까지 용천수가 많이 나오고 누군가가 잘 관리하는 곳이라고 생각하니 다행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개웃샘물
↑ 개웃샘물

옛 어른들은 *“놋 씻을 때 물 하영 쓰면 저승 강 다 먹어사 헌다”라고 말씀하신다. 한 방울의 물도 귀하게 여기고 아껴서 썼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제주의 대부분의 마을이 그러하듯이 김녕마을에서도 물에 대한 어려움이 있었고 아껴 써야만 했을 것이라고 추측해본다.



*속담 뜻 : 세수할 때 물을 많이 쓰면 죽어서 저승에 가 생전에 세수할 때 썼던 물을 다 마셔야 한다는 뜻

전순정 곶자왈생태해설사, 삼다소담 리포터즈(도민기자)
전순정 곶자왈생태해설사,
삼다소담 리포터즈(도민기자)
제주 사람이 된지 얼마 되진 않았지만 제주와 곶자왈을 사랑하며 세계자연유산인
제주의 모습을 오래도록 지켜보며 살고 싶다.
삼다 제주와 함께하는 즐거운 이야기, 삼다소담

Quick menu

삼다소담 웹진 구독신청

삼다소담 웹진 구독신청 하시는 독자분들에게 매월 흥미롭고 알찬 정보가 담긴 뉴스레터를 발송하여 드립니다.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이메일 주소 외의 정보는 받지 않습니다.
구독신청을 취소하시려면 아래 [구독취소신청] 버튼을 클릭하신 후 취소신청 이메일을 작성해주세요. 구독취소신청

삼다소담 웹진 구독취소

삼다소담 웹진 구독을 취소하기 원하시면 아래 입력창에 구독신청하신 본인의 이메일 주소를 입력 후
[구독취소] 버튼을 눌러주세요.
구독을 취소신청하신 경우에는 다음 익월 발행호부터 해당 이메일로 뉴스레터가 발행되지 않는 점을 참고해주세요. 구독신청으로
구독 지난호 페이지상단으로이동

삼다소담 웹진

2024년

  • 삼다소담 vol. 52

    [vol. 52]

  • 삼다소담 vol. 51

    [vol. 51]

  • 삼다소담 vol. 50

    [vol. 50]

  • 삼다소담 vol. 49

    [vol. 49]

  • 삼다소담 vol. 48

    [vol. 48]

  • 삼다소담 vol. 47

    [vol. 47]

  • 삼다소담 vol. 46

    [vol. 46]

  • 삼다소담 vol. 45

    [vol. 45]

  • 삼다소담 vol. 44

    [vol. 44]

  • 삼다소담 vol. 43

    [vol. 43]

  • 삼다소담 vol. 42

    [vol. 42]

2023년

  • 삼다소담 vol. 41

    [vol. 41]

  • 삼다소담 vol. 40

    [vol. 40]

  • 삼다소담 vol. 39

    [vol. 39]

  • 삼다소담 vol. 38

    [vol. 38]

  • 삼다소담 vol. 37

    [vol. 37]

  • 삼다소담 vol. 36

    [vol. 36]

2022년

  • 삼다소담 vol. 35

    [vol. 35]

  • 삼다소담 vol. 34

    [vol. 34]

  • 삼다소담 vol. 33

    [vol. 33]

  • 삼다소담 vol. 32

    [vol. 32]

  • 삼다소담 vol. 31

    [vol. 31]

  • 삼다소담 vol. 30

    [vol. 30]

  • 삼다소담 vol. 29

    [vol. 29]

  • 삼다소담 vol. 28

    [vol. 28]

  • 삼다소담 vol. 27

    [vol. 27]

  • 삼다소담 vol. 26

    [vol. 26]

  • 삼다소담 vol. 25

    [vol. 25]

  • 삼다소담 vol. 24

    [vol. 24]

2021년

  • 삼다소담 vol. 23

    [vol. 23]

  • 삼다소담 vol. 22

    [vol. 22]

  • 삼다소담 vol. 21

    [vol. 21]

  • 삼다소담 vol. 20

    [vol. 20]

  • 삼다소담 vol. 19

    [vol. 19]

  • 삼다소담 vol. 18

    [vol. 18]

  • 삼다소담 vol. 17

    [vol. 17]

  • 삼다소담 vol. 16

    [vol. 16]

  • 삼다소담 vol. 15

    [vol. 15]

2020년

  • 삼다소담 vol. 14

    [vol. 14]

  • 삼다소담 vol. 13

    [vol. 13]

  • 삼다소담 vol. 12

    [vol. 12]

  • 삼다소담 vol. 11

    [vol. 11]

  • 삼다소담 vol. 10

    [vol. 10]

  • 삼다소담 vol. 9

    [vol. 9]

  • 삼다소담 vol. 8

    [vol. 8]

  • 삼다소담 vol. 7

    [vol. 7]

  • 삼다소담 vol. 6

    [vol. 6]

  • 삼다소담 vol. 5

    [vol. 5]

  • 삼다소담 vol. 4

    [vol. 4]

  • 삼다소담 vol. 3

    [vol. 3]

  • 삼다소담 vol. 2

    [vol. 2]

2019년

  • 삼다소담 vol. 1

    [vol. 1]

2024년

2022년

2021년

2020년

APP
다운로드
오늘그만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