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방 in 제주로케이션 in 제주

로케이션 in 제주

여름 제주를 물들이는 황금빛 바다 해바라기 명소 3선
곧 시작될 제주 해바라기 시즌을 앞두고 전국 여행객들이
황금빛 장관을 기다리며 벌써부터 여행 계획을 세우고 있다.
놓치면 후회할 제주 해바라기 베스트 명소를 미리 체크해보자.
글, 사진제주관광공사

김경숙 해바라기 농장

제주 대표 해바라기 명소로 손꼽히는 김경숙 해바라기 농장은 무려 1만여 평 농지에 75만 송이의 해바라기를 만날 수 있는 압도적인 규모를 자랑한다. 성인 키를 훌쩍 넘는 해바라기들이 끝없이 펼쳐진 모습은 마치 노란 바다를 연상시킨다. 농장 운영자가 개화시기를 조절하여 7월 중순부터 8월 초까지 구역별로 단계적으로 해바라기를 감상할 수 있도록 배려했다. 입장료를 지불하면 농산물 교환권이 함께 제공되어 해바라기 관련 농산물이나 아이스크림, 음료, 해바라기씨 등으로 교환할 수 있어 실속도 챙길 수 있다.
위치: 제주시 번영로 854-1

함덕해수욕장 인근
해바라기밭

에메랄드빛 바다로 유명한 함덕해수욕장에서 차로 5분 거리에 위치한 개인 농가의 해바라기밭이다. 규모는 크지 않지만 바다와 해바라기를 함께 담을 수 있는 독특한 구도로 사진 애호가들 사이에서 숨은 명소로 알려져 있다. 해바라기밭 뒤로 펼쳐지는 푸른 바다와 하얀 백사장의 조합은 다른 곳에서는 볼 수 없는 제주만의 특별한 풍경을 만들어낸다. 특히 아침 일찍 방문하면 이슬을 머금은 싱싱한 해바라기와 고요한 바다의 모습을 동시에 감상할 수 있다. 함덕해수욕장에서 해수욕을 즐긴 후 들러보기 좋은 위치에 있어 여름휴가 코스로 제격이다.. 담담한 연출로 제주의 일상을 진솔하게 담아낸 작품이다.
위치: 제주시 조천읍 함덕리 일대

항파두리 항몽유적지
해바라기

제주공항에서 가까운 애월읍에 위치한 항파두리 항몽유적지는 역사와 자연이 어우러진 특별한 해바라기 명소다. 13세기 말 고려시대, 몽골의 침입에 마지막까지 맞서 싸운 삼별초의 항쟁 흔적이 남아있는 이곳에서 매년 6월부터 7월까지 해바라기가 만개한다. 길쭉하고 시원한 모습의 해바라기들이 멀리 보이는 제주공항의 비행기와 함께 어우러져 독특한 풍경을 연출한다. 특히 비행기가 이착륙하는 모습과 해바라기를 함께 담을 수 있는 '비행기 샷'으로 유명해 사진 애호가들에게 인기가 높다. 무엇보다 무료 입장이 가능하며, 유적지 내 전시관과 기념비, 토성 등 역사적 유적들도 함께 관람할 수 있어 의미 있는 방문이 된다.
촬영지 : 제주시 애월읍 항파두리로 50

삼다소담 웹진

2025년

  • 삼다소담 vol. 54

    vol. 54

  • 삼다소담 vol. 55

    vol. 55

  • 삼다소담 vol. 56

    vol. 56

  • 삼다소담 vol. 57

    vol. 57

  • 삼다소담 vol. 58

    vol. 58

2024년

  • 삼다소담 vol. 53

    vol. 53

  • 삼다소담 vol. 52

    vol. 52

  • 삼다소담 vol. 51

    vol. 51

  • 삼다소담 vol. 50

    vol. 50

  • 삼다소담 vol. 49

    vol. 49

  • 삼다소담 vol. 48

    vol. 48

  • 삼다소담 vol. 47

    vol. 47

  • 삼다소담 vol. 46

    vol. 46

  • 삼다소담 vol. 45

    vol. 45

  • 삼다소담 vol. 44

    vol. 44

  • 삼다소담 vol. 43

    vol. 43

  • 삼다소담 vol. 42

    vol. 42

2023년

  • 삼다소담 vol. 41

    vol. 41

  • 삼다소담 vol. 40

    vol. 40

  • 삼다소담 vol. 39

    vol. 39

  • 삼다소담 vol. 38

    vol. 38

  • 삼다소담 vol. 37

    vol. 37

  • 삼다소담 vol. 36

    vol. 36

2022년

  • 삼다소담 vol. 35

    vol. 35

  • 삼다소담 vol. 34

    vol. 34

  • 삼다소담 vol. 33

    vol. 33

  • 삼다소담 vol. 32

    vol. 32

  • 삼다소담 vol. 31

    vol. 31

  • 삼다소담 vol. 30

    vol. 30

  • 삼다소담 vol. 29

    vol. 29

  • 삼다소담 vol. 28

    vol. 28

  • 삼다소담 vol. 27

    vol. 27

  • 삼다소담 vol. 26

    vol. 26

  • 삼다소담 vol. 25

    vol. 25

  • 삼다소담 vol. 24

    vol. 24

2021년

  • 삼다소담 vol. 23

    vol. 23

  • 삼다소담 vol. 22

    vol. 22

  • 삼다소담 vol. 21

    vol. 21

  • 삼다소담 vol. 20

    vol. 20

  • 삼다소담 vol. 19

    vol. 19

  • 삼다소담 vol. 18

    vol. 18

  • 삼다소담 vol. 17

    vol. 17

  • 삼다소담 vol. 16

    vol. 16

  • 삼다소담 vol. 15

    vol. 15

2020년

  • 삼다소담 vol. 14

    vol. 14

  • 삼다소담 vol. 13

    vol. 13

  • 삼다소담 vol. 12

    vol. 12

  • 삼다소담 vol. 11

    vol. 11

  • 삼다소담 vol. 10

    vol. 10

  • 삼다소담 vol. 9

    vol. 9

  • 삼다소담 vol. 8

    vol. 8

  • 삼다소담 vol. 7

    vol. 7

  • 삼다소담 vol. 6

    vol. 6

  • 삼다소담 vol. 5

    vol. 5

  • 삼다소담 vol. 4

    vol. 4

  • 삼다소담 vol. 3

    vol. 3

  • 삼다소담 vol. 2

    vol. 2

2019년

  • 삼다소담 vol. 1

    vol. 1

2025년

2024년

2022년

2021년

2020년

삼다소담 웹진 구독신청

삼다소담 웹진 구독신청 하시는 독자분들에게
매월 흥미롭고 알찬 정보가 담긴 뉴스레터를 발송하여 드립니다.
*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이메일 주소 외의 정보는 받지 않습니다.
이메일
웹진 구독 후 [구독 이벤트 참여 폼 작성하기] 버튼을 눌러
정보 입력 완료해야 이벤트 참여가 마무리 됩니다!
구독신청을 취소하시려면 아래 [구독 취소하기] 버튼을 클릭하신 후
취소 신청 이메일을 작성해 주세요.
VOL.58 June 2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