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쿰다(제주를 품다)청정 제주 다시 보기

청정 제주 다시 보기

제주에서만 만날 수 있는 보호종 식물 3선
사람의 손길이 닿지 않은 제주의 깊은 숲.
오직 이곳에만 살아가는 고유 식물들이
조용히, 그러나 단단히 뿌리내리고 있다.
제주 자연이 들려주는 오래된 이야기에 귀 기울이며,
이제 숲의 속살로 한 걸음 들어가 보자.
출처국립생물자원관, 공공누리 제1유형

제주의 자연 속으로 한 발 한 발 걸어 들어가보는 시간

울창한 곶자왈 숲 속, 바람에 실려오는 흙내음 사이로 때때로 숨겨진 향기가 스친다. 발밑에는 보석처럼 귀한 풀이 조심스럽게 고개를 내밀고,
그 속에는 사람의 손길이 닿지 않은 만년숲이 고요히 숨 쉰다. 이곳에는 오직 제주에서만 만날 수 있는 특별한 식물 친구들이 살아간다.
제주 자연이 들려주는 이야기에 귀 기울이며, 함께 숲 속 산책을 떠나본다.

제주고사리삼

지구에 하나뿐인 살아있는
고사리 화석

제주고사리삼은 전 세계에서 오직 제주에서만 자생하는 고사리다. 1996년 선흘 곶자왈에서 처음 발견되었으며, 그 희귀성과 독특함으로 인해 국제 학계에서 신종으로 인정받고 아예 새로운 속(genus)으로 분류되었다. 국제자연보전연맹(IUCN)은 이를 멸종위기 최고 등급(CR)으로 지정해 보호한다. 이끼처럼 작은 크기로 자라 관찰이 쉽지 않지만, 발견하는 순간 그 특별함에 놀라게 된다. 습한 곶자왈 숲에서 조용히 살아가는 제주고사리삼은 우리가 지켜야 할 생태계의 소중한 일부다.

만년콩

늘 푸른 영원의 숲을 꿈꾸다

한라산 남쪽의 습한 계곡 숲에서 자라는 만년콩은 이름처럼 늘 푸르름을 간직한 상록 활엽 관목이다. 1970년 처음 발견된 이 식물은 제주에서만 자생하며, 조용한 그늘 속에서 꾸준히 생명을 이어간다. 하지만 최근 자생 개체 수가 급격히 줄어들며 복원 프로젝트가 진행 중이다. 사람의 발길이 드문 숲속에서 묵묵히 자리를 지키는 만년콩은 제주의 숲이 오래도록 푸르게 숨 쉴 수 있도록 우리 모두의 관심을 기다린다.

여름새우난초

겸손하게 피어난 여름 숲의 요정

여름새우난초는 제주 숲에서 흔히 볼 수 없는 희귀한 식물이다. 이름처럼 새우의 형태를 닮은 꽃잎은 연한 분홍과 흰빛이 어우러져 섬세한 아름다움을 자아낸다. 습하고 그늘진 환경을 좋아하며, 온도와 습도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해 자연의 섬세한 균형을 그대로 보여준다. 화려하지 않지만 조용히 피어난 그 모습에서는 숲 속 요정이 다녀간 듯한 잔잔한 기품이 느껴진다.

백량금

숲속 그늘에 숨은 자연의 보석

백량금은 제주도와 남부의 따뜻한 숲 그늘에서 자라는 상록 떨기나무다. 키는 1미터 정도로 자라며, 윤이 나는 짙은 초록빛 잎은 숲을 더욱 깊고 풍성하게 채운다. 6월에서 8월 사이 가지 끝에 피는 하얀 꽃은 조용한 숲에 포근한 생기를 더하고, 붉게 익은 열매는 다음 해까지 가지에 남아 숲의 시간을 지킨다. 백량금은 늘 그 자리에 있는 듯 숲과 어우러져 보는 이에게 잔잔한 평안과 쉼을 선물한다.

삼다소담 웹진

2025년

  • 삼다소담 vol. 54

    vol. 54

  • 삼다소담 vol. 55

    vol. 55

  • 삼다소담 vol. 56

    vol. 56

  • 삼다소담 vol. 57

    vol. 57

  • 삼다소담 vol. 58

    vol. 58

2024년

  • 삼다소담 vol. 53

    vol. 53

  • 삼다소담 vol. 52

    vol. 52

  • 삼다소담 vol. 51

    vol. 51

  • 삼다소담 vol. 50

    vol. 50

  • 삼다소담 vol. 49

    vol. 49

  • 삼다소담 vol. 48

    vol. 48

  • 삼다소담 vol. 47

    vol. 47

  • 삼다소담 vol. 46

    vol. 46

  • 삼다소담 vol. 45

    vol. 45

  • 삼다소담 vol. 44

    vol. 44

  • 삼다소담 vol. 43

    vol. 43

  • 삼다소담 vol. 42

    vol. 42

2023년

  • 삼다소담 vol. 41

    vol. 41

  • 삼다소담 vol. 40

    vol. 40

  • 삼다소담 vol. 39

    vol. 39

  • 삼다소담 vol. 38

    vol. 38

  • 삼다소담 vol. 37

    vol. 37

  • 삼다소담 vol. 36

    vol. 36

2022년

  • 삼다소담 vol. 35

    vol. 35

  • 삼다소담 vol. 34

    vol. 34

  • 삼다소담 vol. 33

    vol. 33

  • 삼다소담 vol. 32

    vol. 32

  • 삼다소담 vol. 31

    vol. 31

  • 삼다소담 vol. 30

    vol. 30

  • 삼다소담 vol. 29

    vol. 29

  • 삼다소담 vol. 28

    vol. 28

  • 삼다소담 vol. 27

    vol. 27

  • 삼다소담 vol. 26

    vol. 26

  • 삼다소담 vol. 25

    vol. 25

  • 삼다소담 vol. 24

    vol. 24

2021년

  • 삼다소담 vol. 23

    vol. 23

  • 삼다소담 vol. 22

    vol. 22

  • 삼다소담 vol. 21

    vol. 21

  • 삼다소담 vol. 20

    vol. 20

  • 삼다소담 vol. 19

    vol. 19

  • 삼다소담 vol. 18

    vol. 18

  • 삼다소담 vol. 17

    vol. 17

  • 삼다소담 vol. 16

    vol. 16

  • 삼다소담 vol. 15

    vol. 15

2020년

  • 삼다소담 vol. 14

    vol. 14

  • 삼다소담 vol. 13

    vol. 13

  • 삼다소담 vol. 12

    vol. 12

  • 삼다소담 vol. 11

    vol. 11

  • 삼다소담 vol. 10

    vol. 10

  • 삼다소담 vol. 9

    vol. 9

  • 삼다소담 vol. 8

    vol. 8

  • 삼다소담 vol. 7

    vol. 7

  • 삼다소담 vol. 6

    vol. 6

  • 삼다소담 vol. 5

    vol. 5

  • 삼다소담 vol. 4

    vol. 4

  • 삼다소담 vol. 3

    vol. 3

  • 삼다소담 vol. 2

    vol. 2

2019년

  • 삼다소담 vol. 1

    vol. 1

2025년

2024년

2022년

2021년

2020년

삼다소담 웹진 구독신청

삼다소담 웹진 구독신청 하시는 독자분들에게
매월 흥미롭고 알찬 정보가 담긴 뉴스레터를 발송하여 드립니다.
*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이메일 주소 외의 정보는 받지 않습니다.
이메일
웹진 구독 후 [구독 이벤트 참여 폼 작성하기] 버튼을 눌러
정보 입력 완료해야 이벤트 참여가 마무리 됩니다!
구독신청을 취소하시려면 아래 [구독 취소하기] 버튼을 클릭하신 후
취소 신청 이메일을 작성해 주세요.
VOL.58 June 2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