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물 돋보기

제주 서쪽에 많이 있는 것은? 폭포
제주에도 한 여름 더위를 단번에 물리쳐줄 것 같은 절경의 폭포가 많다. 그런데 대부분의 폭포는 제주 서쪽을 가야 만날 수 있다. 한라산 물줄기를 타고 이어져 해안가 절벽을 타고 떨어지는 아름다운 제주의 폭포를 만나보자.
정리. 편집실, 사진. 제주도청, 제주관광공사
삼다 제주제주물 돋보기 인쇄

칠선녀가 노닐던 곳,
천제연폭포

천제연폭포는 모두 3개의 폭포로 나뉘는데, 주상절리 절벽에 떨어지는 것이 제1폭포다. 그 아래로 물이 흐르며 형성된 것이 제2,3폭포인 것. 그 중 2단과 3단 폭포 사이에 선임교란 다리가 있는데 여기에는 전설이 하나 내려져온다. 옥황상제를 모시던 칠선녀가 옥피리를 불며 내려와 노닐다 올라갔다고 해서 ‘칠선녀다리’라고도 불린다. 천제연(天帝淵)은 ‘하나님의 못’이라는 뜻이다. 건기에는 물이 없어 제대로 된 폭포를 감상하기 어렵지만 시기를 잘 맞추면 22m 높이 절벽에서 수심 21m의 못(천제연)으로 떨어지는 아름다운 천제연폭포의 모습을 감상할 수 있다.

천제연폭포
천제연폭포
↑ 천제연폭포

작은 굴의 입구,
엉또폭포

‘엉또’는 ‘엉’의 입구라는 뜻이다. ‘엉’은 작은 바위 그늘 집보다 작은 굴, ‘또’는 입구를 표현하는 제주어이다. 천연 난대림이 우거진 계곡 사이에 떨어지는 엉또폭포는 사시사철 상록의 아름다움을 감상할 수 있는 곳으로 서귀포 70경 중 하나이기도 하다. 한바탕 비가 쏟아질 때 엉또폭포의 진면목을 볼 수 있다. 50m 높이의 기암절벽에서 말 그대로 ‘폭포수 같은’ 물이 쏟아지며 그 위용을 드러낸다.

엉또폭포
엉또폭포
↑ 엉또폭포

돈내코계곡의 중심,
원앙폭포

1994년 제주도 종합개발계획에 의해 개발된 돈내코계곡 한 가운데에 높이 5m의 원앙폭포가 자리하고 있다. 원앙폭포는 떨어지는 두 개의 물줄기가 금슬 좋은 원앙 한 쌍과 같다고 해서 이름 붙여졌다. 이곳은 매년 음력 7월 15일 백중날 여름철 물맞이를 하는 곳으로도 유명하다. 물맞이는 폭포에서 떨어지는 차가운 물을 맞아 통증을 낫게 하는 제주전통 민간요법이다. 돈내코계곡은 원앙폭포 외에도 제주 특산 한란과 겨울딸기가 자생하는 것을 볼 수도 있고 휴양림과 계곡 등을 즐길 수 있는 야영장과 카라반도 갖춰져 있어 볼거리, 즐길거리가 다양하다.

원앙폭포
원앙폭포
↑ 원앙폭포

하늘과 땅이 만난 연못,
천지연폭포

서귀포 지역은 다른 지역보다 용천수가 많이 솟고 지하에 물이 잘 스며들지 않아 폭포가 많다. 많은 폭포 가운데서도 천지연폭포는 규모나 경관 면에서 단연 으뜸. 22m 높이에서 20m 아래의 못(천지연)을 보고 있노라면 하늘과 땅이 만난다는 의미가 무엇인지 알 수 있다.
천지연폭포는 '천연기념물의 보고'라고도 할 수 있다. 폭포를 둘러싼 난대림 자체가 천연기념물 379호로 지정되어 있고 숲에 자생하는 담팔수나무, 못 속에 서식하는 무태장어 등도 각 천연기념물 163호, 27호로 지정되어 있다.

천지연폭포 야간 전경
↑ 천지연폭포 야간 전경

바다와 맞닿은 폭포,
정방폭포

천제연폭포, 천지연폭포와 더불어 제주도 3대 폭포로 불리는 정방폭포. 국내에서 유일하게 뭍에서 바다로 직접 떨어지는 폭포를 볼 수 있는 곳이다. 높이 23m, 너비 8m의 규모가 압도하는 절경을 자랑한다. 정방폭포는 ‘소남머리 4.3 유적지’가 있는 곳이기도 하다. 이곳에서 4.3사건 당시 많은 주민들이 즉결처형으로 희생을 당했다. ‘소남머리’는 동산에 소나무가 많다고 붙여진 이름이다.

정방폭포
↑ 정방폭포
제주폭포지도
삼다 제주와 함께하는 즐거운 이야기, 삼다소담

Quick menu

삼다소담 웹진 구독신청

삼다소담 웹진 구독신청 하시는 독자분들에게 매월 흥미롭고 알찬 정보가 담긴 뉴스레터를 발송하여 드립니다.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이메일 주소 외의 정보는 받지 않습니다.
구독신청을 취소하시려면 아래 [구독취소신청] 버튼을 클릭하신 후 취소신청 이메일을 작성해주세요. 구독취소신청

삼다소담 웹진 구독취소

삼다소담 웹진 구독을 취소하기 원하시면 아래 입력창에 구독신청하신 본인의 이메일 주소를 입력 후
[구독취소] 버튼을 눌러주세요.
구독을 취소신청하신 경우에는 다음 익월 발행호부터 해당 이메일로 뉴스레터가 발행되지 않는 점을 참고해주세요. 구독신청으로
구독 지난호 페이지상단으로이동

삼다소담 웹진

2024년

  • 삼다소담 vol. 52

    [vol. 52]

  • 삼다소담 vol. 51

    [vol. 51]

  • 삼다소담 vol. 50

    [vol. 50]

  • 삼다소담 vol. 49

    [vol. 49]

  • 삼다소담 vol. 48

    [vol. 48]

  • 삼다소담 vol. 47

    [vol. 47]

  • 삼다소담 vol. 46

    [vol. 46]

  • 삼다소담 vol. 45

    [vol. 45]

  • 삼다소담 vol. 44

    [vol. 44]

  • 삼다소담 vol. 43

    [vol. 43]

  • 삼다소담 vol. 42

    [vol. 42]

2023년

  • 삼다소담 vol. 41

    [vol. 41]

  • 삼다소담 vol. 40

    [vol. 40]

  • 삼다소담 vol. 39

    [vol. 39]

  • 삼다소담 vol. 38

    [vol. 38]

  • 삼다소담 vol. 37

    [vol. 37]

  • 삼다소담 vol. 36

    [vol. 36]

2022년

  • 삼다소담 vol. 35

    [vol. 35]

  • 삼다소담 vol. 34

    [vol. 34]

  • 삼다소담 vol. 33

    [vol. 33]

  • 삼다소담 vol. 32

    [vol. 32]

  • 삼다소담 vol. 31

    [vol. 31]

  • 삼다소담 vol. 30

    [vol. 30]

  • 삼다소담 vol. 29

    [vol. 29]

  • 삼다소담 vol. 28

    [vol. 28]

  • 삼다소담 vol. 27

    [vol. 27]

  • 삼다소담 vol. 26

    [vol. 26]

  • 삼다소담 vol. 25

    [vol. 25]

  • 삼다소담 vol. 24

    [vol. 24]

2021년

  • 삼다소담 vol. 23

    [vol. 23]

  • 삼다소담 vol. 22

    [vol. 22]

  • 삼다소담 vol. 21

    [vol. 21]

  • 삼다소담 vol. 20

    [vol. 20]

  • 삼다소담 vol. 19

    [vol. 19]

  • 삼다소담 vol. 18

    [vol. 18]

  • 삼다소담 vol. 17

    [vol. 17]

  • 삼다소담 vol. 16

    [vol. 16]

  • 삼다소담 vol. 15

    [vol. 15]

2020년

  • 삼다소담 vol. 14

    [vol. 14]

  • 삼다소담 vol. 13

    [vol. 13]

  • 삼다소담 vol. 12

    [vol. 12]

  • 삼다소담 vol. 11

    [vol. 11]

  • 삼다소담 vol. 10

    [vol. 10]

  • 삼다소담 vol. 9

    [vol. 9]

  • 삼다소담 vol. 8

    [vol. 8]

  • 삼다소담 vol. 7

    [vol. 7]

  • 삼다소담 vol. 6

    [vol. 6]

  • 삼다소담 vol. 5

    [vol. 5]

  • 삼다소담 vol. 4

    [vol. 4]

  • 삼다소담 vol. 3

    [vol. 3]

  • 삼다소담 vol. 2

    [vol. 2]

2019년

  • 삼다소담 vol. 1

    [vol. 1]

2024년

2022년

2021년

2020년

APP
다운로드
오늘그만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