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물 돋보기

제주에서는 나무 밑에 항아리를 둔다? 촘항
물이 귀한 제주, 물을 아끼고 지혜롭게 사용하는 방법은 그 어떤 지역보다 발달해 있다. 물구덕, 물항, 물팡처럼 물과 연결된 옛 생활용구들이 많은 이유기도 하다. 그중에서도 ‘촘항’에 대해 알아보자.
. 편집실, 자료. 제주특별자치도
삼다 제주제주물 돋보기 인쇄

빗물을
이용하는 지혜, 촘항

화산섬 제주는 토양 특성 때문에 비가 오더라도 빗물이 그대로 스며들어버린다. 바닷가 용천수 인근은 사정이 나았지만 대부분의 지역은 식수가 넉넉지 못해 물을 길어오는 일이 중요한 일과로 자리잡았다. 물구덕, 물항, 물팡 같은 생활용구가 발달한 것도 그 때문이다. 특히 중산간 지역은 용천수가 적어 더욱 물이 부족한 편이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고안해 낸 것이 바로 ‘촘항’이다. 물을 얻기 위해 먼 길을 가야 하는 데다가, 그마저도 쉽게 구할 수가 없는 중산간 지역에서 자연 그대로인 빗물을 이용하는 지혜를 발휘한 것이다.

옛 촘항의 모습
↑ 옛 촘항의 모습
봉천수 연못
↑ 봉천수 연못

불순물이
걸러져 깨끗한 물 이용 가능해

빗물을 이용한 ‘촘항’은 단순하지만 지혜로운 생각을 엿볼 수 있는 독특한 생활문화유산이다. 잎이 넓은 나무 밑에 커다란 물항아리를 두고, 나무 둥치에 ‘촘’을 걸어놓은 것을 ‘촘항’이라고 불렀다. ‘촘’은 중산간 지방에서 많이 자라는 풀인 ‘새’를 댕기머리 모양으로 엮은 것이다. 잎이 넓은 나무 밑에 두는 것은 빗물이 큰 잎을 타면 더 많이 모이기 때문인데, 이렇게 모인 빗물이 허투루 땅에 떨어지지 않고 ‘촘’을 타고 물항아리에 담긴다. 그 과정에서 불순물이 걸러져 깨끗한 물만 남게 되고, 이 물은 용천수보다 유지 기간이 길고 맛도 좋았다고 한다. 또 ‘촘항’에는 개구리를 넣어 먹을 수 있는 물인지 아닌지를 구분했다고 한다. 어떤 나무에 촘을 걸었는지, 물항아리가 몇 개인지에 따라 그 집안의 생활수준을 구분하는 수단이 되기도 했다고 전해진다.

제주민속촌에 있는 촘항
↑ 제주민속촌에 있는 촘항
삼다 제주와 함께하는 즐거운 이야기, 삼다소담

Quick menu

삼다소담 웹진 구독신청

삼다소담 웹진 구독신청 하시는 독자분들에게 매월 흥미롭고 알찬 정보가 담긴 뉴스레터를 발송하여 드립니다.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이메일 주소 외의 정보는 받지 않습니다.
구독신청을 취소하시려면 아래 [구독취소신청] 버튼을 클릭하신 후 취소신청 이메일을 작성해주세요. 구독취소신청

삼다소담 웹진 구독취소

삼다소담 웹진 구독을 취소하기 원하시면 아래 입력창에 구독신청하신 본인의 이메일 주소를 입력 후
[구독취소] 버튼을 눌러주세요.
구독을 취소신청하신 경우에는 다음 익월 발행호부터 해당 이메일로 뉴스레터가 발행되지 않는 점을 참고해주세요. 구독신청으로
구독 지난호 페이지상단으로이동

삼다소담 웹진

2024년

  • 삼다소담 vol. 45

    [vol. 45]

  • 삼다소담 vol. 44

    [vol. 44]

  • 삼다소담 vol. 43

    [vol. 43]

  • 삼다소담 vol. 42

    [vol. 42]

2023년

  • 삼다소담 vol. 41

    [vol. 41]

  • 삼다소담 vol. 40

    [vol. 40]

  • 삼다소담 vol. 39

    [vol. 39]

  • 삼다소담 vol. 38

    [vol. 38]

  • 삼다소담 vol. 37

    [vol. 37]

  • 삼다소담 vol. 36

    [vol. 36]

2022년

  • 삼다소담 vol. 35

    [vol. 35]

  • 삼다소담 vol. 34

    [vol. 34]

  • 삼다소담 vol. 33

    [vol. 33]

  • 삼다소담 vol. 32

    [vol. 32]

  • 삼다소담 vol. 31

    [vol. 31]

  • 삼다소담 vol. 30

    [vol. 30]

  • 삼다소담 vol. 29

    [vol. 29]

  • 삼다소담 vol. 28

    [vol. 28]

  • 삼다소담 vol. 27

    [vol. 27]

  • 삼다소담 vol. 26

    [vol. 26]

  • 삼다소담 vol. 25

    [vol. 25]

  • 삼다소담 vol. 24

    [vol. 24]

2021년

  • 삼다소담 vol. 23

    [vol. 23]

  • 삼다소담 vol. 22

    [vol. 22]

  • 삼다소담 vol. 21

    [vol. 21]

  • 삼다소담 vol. 20

    [vol. 20]

  • 삼다소담 vol. 19

    [vol. 19]

  • 삼다소담 vol. 18

    [vol. 18]

  • 삼다소담 vol. 17

    [vol. 17]

  • 삼다소담 vol. 16

    [vol. 16]

  • 삼다소담 vol. 15

    [vol. 15]

2020년

  • 삼다소담 vol. 14

    [vol. 14]

  • 삼다소담 vol. 13

    [vol. 13]

  • 삼다소담 vol. 12

    [vol. 12]

  • 삼다소담 vol. 11

    [vol. 11]

  • 삼다소담 vol. 10

    [vol. 10]

  • 삼다소담 vol. 9

    [vol. 9]

  • 삼다소담 vol. 8

    [vol. 8]

  • 삼다소담 vol. 7

    [vol. 7]

  • 삼다소담 vol. 6

    [vol. 6]

  • 삼다소담 vol. 5

    [vol. 5]

  • 삼다소담 vol. 4

    [vol. 4]

  • 삼다소담 vol. 3

    [vol. 3]

  • 삼다소담 vol. 2

    [vol. 2]

2019년

  • 삼다소담 vol. 1

    [vol. 1]

2022년

2021년

2020년

APP
다운로드
오늘그만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