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물 돋보기

제주의 물통은 악기도 된다? 허벅장단
제주의 삶과 떼어놓을 수 없었던 물허벅. 기본적으로 물을 나르는 데 사용했지만 씨앗을 담거나 술, 죽 등을 담는 데도 사용됐다. 특히 노래를 부를 때 장단을맞추는 악기 용도로도 쓰여 이를 ‘허벅장단’이라고 불렀다고 한다.
. 편집실, 자료. 제주여성역사문화전시관
삼다 제주제주물 돋보기 인쇄

제주 여인들의 악기도 되었던 물허벅

물허벅은 제주 여인들의 삶과 애환을 고스란히 담고 있다. 허벅으로 물을 긷는 일은 전통적으로 제주 여인 고유의 일이었기 때문이다. 허벅은 물 긷는 용도 외에도 각종 씨앗을 보관하고, 술이나 간장 등의 액체를 보관하는 용기로도 사용됐다. 상을 당한 집이 있으면 허벅에 팥죽을 쑤어 담아갔다고 하고, 허벅을 지고 물을 길을 때 허벅을 치며 흥을 돋우기도 했다.
결혼식 같은 경사스런 잔치자리에서도 숟가락으로 허벅의 어깨 부분이나 주둥이를 쳐서 장단을 맞추기도 했다고 한다. 이를 ‘허벅장단’이라고 불렀는데, 허벅 자체의 두께가 얇아서 장단을 치면 청아한 음색이 나온다. 특히 속에 담긴 물의 양에 따라 음의 높낮이와 음색이 달라져 특색 있는 소리를 냈다.

↓ 물허벅을 지고 가는 제주 여인들
물허벅을 지고 가는 제주 여인들 제주민속자연사박물관의 물허벅을 진 여인상
↑ 제주민속자연사박물관의 물허벅을 진 여인상

현대적으로 되살아난 허벅장단과 허벅춤

허벅장단은 주로 사설이나 춤과 어우러져 제주 고유의 문화를 만들어냈다. 허벅이 사라져감과 함께 사라질뻔한 허벅 문화는 뜻 있는 이들의 노력으로 새롭게 태어났다. 1960년대에 제주 무용가인 송근우는 물허벅으로 장단을 치고 춤을 추는 제주의 민속을 재현한 ‘물허벅춤’을 만들어 허벅 문화를 보존했다. 춤의 내용은 여성들이 물을 긷는 모습을 중심으로 우물을 오가던 제주 여인들이 허벅을 치며 흥을 돋우고, 등에 허벅을 메고 춤을 추며, 물을 긷고 허벅에 물을 담아 집에 가는 모습 등이 표현됐다. 물허벅춤은 제주의 문화를 잘 나타낸 춤으로 평가받으며 ‘해녀춤’과 더불어 제주의 대표적인 민속춤으로 인식되고 있다.

조천 큰물(여탕)
↑ 제주무용가 송근우가 재현한 물허벅춤
삼다 제주와 함께하는 즐거운 이야기, 삼다소담

Quick menu

삼다소담 웹진 구독신청

삼다소담 웹진 구독신청 하시는 독자분들에게 매월 흥미롭고 알찬 정보가 담긴 뉴스레터를 발송하여 드립니다.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이메일 주소 외의 정보는 받지 않습니다.
구독신청을 취소하시려면 아래 [구독취소신청] 버튼을 클릭하신 후 취소신청 이메일을 작성해주세요. 구독취소신청

삼다소담 웹진 구독취소

삼다소담 웹진 구독을 취소하기 원하시면 아래 입력창에 구독신청하신 본인의 이메일 주소를 입력 후
[구독취소] 버튼을 눌러주세요.
구독을 취소신청하신 경우에는 다음 익월 발행호부터 해당 이메일로 뉴스레터가 발행되지 않는 점을 참고해주세요. 구독신청으로
구독 지난호 페이지상단으로이동

삼다소담 웹진

2024년

  • 삼다소담 vol. 44

    [vol. 44]

  • 삼다소담 vol. 43

    [vol. 43]

  • 삼다소담 vol. 42

    [vol. 42]

2023년

  • 삼다소담 vol. 41

    [vol. 41]

  • 삼다소담 vol. 40

    [vol. 40]

  • 삼다소담 vol. 39

    [vol. 39]

  • 삼다소담 vol. 38

    [vol. 38]

  • 삼다소담 vol. 37

    [vol. 37]

  • 삼다소담 vol. 36

    [vol. 36]

2022년

  • 삼다소담 vol. 35

    [vol. 35]

  • 삼다소담 vol. 34

    [vol. 34]

  • 삼다소담 vol. 33

    [vol. 33]

  • 삼다소담 vol. 32

    [vol. 32]

  • 삼다소담 vol. 31

    [vol. 31]

  • 삼다소담 vol. 30

    [vol. 30]

  • 삼다소담 vol. 29

    [vol. 29]

  • 삼다소담 vol. 28

    [vol. 28]

  • 삼다소담 vol. 27

    [vol. 27]

  • 삼다소담 vol. 26

    [vol. 26]

  • 삼다소담 vol. 25

    [vol. 25]

  • 삼다소담 vol. 24

    [vol. 24]

2021년

  • 삼다소담 vol. 23

    [vol. 23]

  • 삼다소담 vol. 22

    [vol. 22]

  • 삼다소담 vol. 21

    [vol. 21]

  • 삼다소담 vol. 20

    [vol. 20]

  • 삼다소담 vol. 19

    [vol. 19]

  • 삼다소담 vol. 18

    [vol. 18]

  • 삼다소담 vol. 17

    [vol. 17]

  • 삼다소담 vol. 16

    [vol. 16]

  • 삼다소담 vol. 15

    [vol. 15]

2020년

  • 삼다소담 vol. 14

    [vol. 14]

  • 삼다소담 vol. 13

    [vol. 13]

  • 삼다소담 vol. 12

    [vol. 12]

  • 삼다소담 vol. 11

    [vol. 11]

  • 삼다소담 vol. 10

    [vol. 10]

  • 삼다소담 vol. 9

    [vol. 9]

  • 삼다소담 vol. 8

    [vol. 8]

  • 삼다소담 vol. 7

    [vol. 7]

  • 삼다소담 vol. 6

    [vol. 6]

  • 삼다소담 vol. 5

    [vol. 5]

  • 삼다소담 vol. 4

    [vol. 4]

  • 삼다소담 vol. 3

    [vol. 3]

  • 삼다소담 vol. 2

    [vol. 2]

2019년

  • 삼다소담 vol. 1

    [vol. 1]

2022년

2021년

2020년

APP
다운로드
오늘그만보기 닫기